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6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6

[ Transcription of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in Gold on Indigo Paper, Volume 46 , 紺紙金泥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四十六 ]

요약 감색 종이에 금가루를 아교에 개어 쓴 고려시대의 《화엄경》 제46권. 1984년 5월 30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6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6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4년 5월 30일
소재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지산리)
시대 고려
종류/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사경
크기 1권 1축

1984년 5월 30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下北面) 통도사(通度寺)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불교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經典)인 《대방광불화엄경》은 《화엄경》이라고도 하는데, 《법화경(法華經)》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큰 영향을 끼쳤다.

권자본(卷子本), 1권 1축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경전은 중국 당(唐)나라의 역경승(譯經僧)인 실차난타(實叉難陀:652∼710)가 번역한 《화엄경》 주본 80권 중 남아 있는 제46권으로, '불부사의법품(佛不思議法品)'이다. 두루마리 형태를 펼쳤을 때의 크기는 가로 758.2㎝, 세로 28.3㎝이고 감색 종이에 금색으로 글씨를 썼다. 권수(卷首)에는 금줄·금강저(金剛杵)·법륜무늬를 두른 안에 불부사의법품의 설법 장면 변상도(變相圖)가 금색으로 그려져 있으며, 이어서 경문(經文)이 금색으로 씌어 있다.

이 사경(寫經)은 표지 부분이 떨어져 나가 새로 배접하였고 변상도의 오른쪽 하단 부분도 훼손되었으나 경문은 양호한 편이다. 변상도와 글씨 등으로 보아 고려 후기인 14세기 무렵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