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체형성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 luteinizing hormone , 黃體形成호르몬 ]

요약 동물의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어 성호르몬을 조절, 생식세포를 성숙시키는 단백질 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이 처음 알려졌을 때는 황체를 형성하는 기능만이 발견되었다. 때문에 황체형성호르몬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현재는 남성의 성호르몬 분비에도 깊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조와 역할
황체형성호르몬은 당단백질로 만들어져 있는 단백질 호르몬이다. 구조는 여포자극호르몬이나 융모성 생식선자극호르몬(HCG) 같은 다른 생식선자극호르몬과 비슷하다. 여성의 뇌하수체는 에스트로겐에 자극을 받아 황체형성호르몬을 내놓는다. 이렇게 분비된 호르몬은 성숙한 여포를 자극하여 난자를 내어놓게 한다. 난자가 나온 뒤에 남은 여포는 황체로 발달한다. 또한 황체를 자극해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분비를 일으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황체형성호르몬은 생식주기를 조절하는 데 큰 역할을 맡고 있다. 남성에게서는 고환의 정소에 있는 세포를 자극하여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일으킨다.

관련 질환
황체형성호르몬은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며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같은 성호르몬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양이 너무 적어도, 많아도 문제가 된다. 칼만증후군처럼 뇌하수체에 이상이 생겨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면 황체형성호르몬이 부족해진다. 반대로 비만에 의한 다낭포성 난소증후군 등에 의해 황체형성호르몬이 많아질 경우에도 문제가 된다. 또한 폐경을 거친 여성에게도 황체형성호르몬의 양이 늘어난다. 황체형성호르몬이 적을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퍼고날 같은 호르몬 약을 사용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