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식선자극호르몬

생식선자극호르몬

[ gonadotropic hormone ]

요약 생식선이 정자와 난자를 만들어내는 것을 조절하는 호르몬이다.

척추동물의 성에 관계되는 여러 가지 특징은 생식선으로부터 분비되는 호르몬에 의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지만, 이 생식선의 성숙과 활동이 뇌하수체에서 기원된 호르몬(생식선자극 호르몬)에 지배된다는 것이 많은 예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다. 뇌하수체에 종양이 생겼기 때문에 난쟁이가 된 사람은 생식선에 장애를 가진다는 것이 이전부터 주목되었으며, 성숙한 쥐의 뇌하수체를 인공적으로 제거하면 생식에 관계가 있는 기관이 퇴화하고 성주기도 없어져 버린다.

한편, 어린 동물에 뇌하수체의 한 조각을 이식하든지, 그 추출물을 주사하면 일찍 생식선이 성숙하여 발정기도 나타난다. 이렇게 뇌하수체 전엽으로부터 분비되는 생식선자극 호르몬에는 여포성숙 호르몬 ·황체형성 호르몬 ·황체자극 호르몬의 3종류가 알려져 있다. 포유류의 암컷에서는 임신 중에 그 태반으로부터도 이 호르몬이 분비된다. 이들 생식선자극 호르몬은 단독으로 작용하는 일도 있지만, 협동 또는 길항적으로 생식선에 작용하여 생식선의 성숙, 생식선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 등 모든 생식선의 활동을 지배하고 있다. 또, 생식선자극 호르몬의 분비는 생식선이 분비하는 호르몬의 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며 둘 사이에는 복잡한 상관관계가 있다.

일조시간을 점차 연장하면 새의 번식기를 야기시킬 수 있는데, 이것은 빛이라는 특정 자극이 눈을 통해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신경분비세포를 자극하고 그 분비물(신경분비물)이 신경축색을 통하여 뇌하수체에 모여 뇌하수체 전엽의 생식선자극 호르몬을 분비시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