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실조

영양실조

다른 표기 언어 malnutrition , 營養失調

요약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거나 병으로 음식을 소화할 수 없을 때 나타난다. 영양실조는 주로 후진국이나 전쟁, 기근 등을 이유로충분한 식품을 얻기가 어려워 칼로리와 단백질이 부족해 발생한다.
영양실조는 필수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1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지 못하여 일어나기도 한다. 극동 아시아에서는 백미를 주식으로 하기 때문에 쌀껍질이 함유한 비타민 B 결핍증이 많다.
소화관·간·신장·적혈구 등의 후천적 또는 선천적 신진대사 결함에 의해 생길 수도 있다. 이러한 질병들은 체내의 기관이나 조직에서 음식물이 정상적으로 소화·흡수·대사되는 것을 방해하여 영양실조를 일으킨다.

영양실조
영양실조

적절한 영양은 정상량의 영양소를 골고루 공급해주는 음식물의 섭취에 달려 있다. 충분한 양을 먹지 못하거나 어떠한 영양소가 결핍된 음식을 먹을 때 또는 특정 질환으로 인해 음식을 제대로 소화할 수 없거나 신체 내에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없을 때 영양실조가 나타난다(→ 영양).

영양실조는 여러 상황들의 결과로 나타난다. 우선 부적당한 농경법, 불완전한 식품 분배, 가난(식품을 충분히 살 수 없는 무능력함) 등으로 인하여 충분하고 알맞은 식품을 얻기가 어려운 경우이다. 이러한 상황들은 대부분 후진국이나 전쟁·기근 때 흔히 발생하고 이런 때는 칼로리와 단백질이 양적으로 부족한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식사요법).

영양실조는 필수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1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된 식품을 섭취하지 못하여 일어나기도 한다. 이런 경우는 흔히 특정한 영양소 결핍질환을 일으킨다. 잘못된 식습관과 편식으로 인해 다른 식품은 섭취하지 않으면서 특정식품만 습관적으로 섭취하거나 좋지 않은 식품을 다량섭취함으로써 영양실조를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면 실제 아프리카의 어느 지역에서는 모유로 키운 후 젖을 뗀 유아에게 주로 카사바(cassava) 같은 한 종류의 전분으로만 구성된 음식을 먹여 단백질결핍증(→ 콰시오르코르)을 일으키기도 한다.

극동 아시아에서는 주식으로 하얗게 도정한 쌀을 선호하여 쌀껍질에 존재하는 비타민 B1(티아민)의 결핍증(→ 각기병)이 매우 많다. 부유한 사회에서는 식품의 종류가 늘어나고 칼로리가 높은 음료에 쉽게 접하게 되면서 이것이 점점 앉아서 생활하는 습관과 연관되어, 20세기 후반에는 사용되지 않은 칼로리가 신체에 지방의 형태로 축적되는 결과를 낳았다.

영양실조는 또한 소화관·간·신장·적혈구 등의 후천적 또는 선천적 신진대사 결함에 의해 생길 수도 있다. 비교적 드물기는 하지만 이러한 질병들은 체내의 기관이나 조직에서 음식물이 정상적으로 소화·흡수·대사되는 것을 방해하여 영양실조를 일으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