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출

연출

다른 표기 언어 directing , 演出

요약 연극·오페라·영화 및 텔레비전·라디오 프로그램을 이루는 모든 요소를 조정하고 통제하는 기술.

이 통제에 대한 책임은 보통 연출가(감독) 한 사람에게 위임된다.

연극에서 연출가가 지배적인 힘을 발휘하게 된 것은 19세기 중엽부터였다. 그 이전에는 숙련된 배우가 다른 단원들에게 조언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근대 사실주의 연극이 나타나면서 누군가가 출연배우의 관점보다 더 넓은 관점에서 작품의 모든 요소를 조정할 필요가 생겼다.

영국의 베스트리스 부인과 독일의 작센마이닝겐 공작 게오르크 2세는 자신들이 출연하지 않는 연극을 연출하면서 부자연스러운 무대의상을 버리고 사실적인 무대와 대사를 쓸 것을 주장했다.

마이닝겐은 1890년 러시아 순회공연을 하면서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의 관심을 끌었다. 스타니슬라프스키가 이룩한 연출 및 연기 기술의 혁신은 1938년 그가 죽은 후에도 오래도록 영향력을 지녔다. 그의 이름은 안톤 체호프의 심리극 및 스타니슬라프스키 방식이라 일컬어지는 배우 훈련기술과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

연출가가 이용할 수 있는 연극의 요소에는 대본, 배우의 연기, 무대장치, 의상, 조명, 시각효과, 음향효과, 무대음악과 음악극의 경우 안무가 있다.

연출가는 이 모든 요소를 이용하여 관객이 극작가가 쓴 것을 상상을 통해 재구성할 수 있도록 작품 전반을 형성한다. 배우는 보통 가장 중요하고도 가변적인 연극 요소이므로 연출가에게는 연기 및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대부분 연출가는 자기가 배우들에게 기대하는 것을 일일이 말하지 않고 배우들의 실제 연기를 통제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연출가는 배우들이 연출가보다 자기 역에 대해 덜 아는 상태에서 출발하여 더 아는 상태에 도달하리라고 생각하여 배우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배우들이 자신의 창조성에 대해 확신을 갖도록 한다. 단 한 사람이라도 배역에 맞지 않는 배우를 고를 경우에는 작품 전체를 망쳐버릴 수 있기 때문에 연출가는 배역에 대해 결정적인 책임을 진다. 예행연습 중에는 예술가로서뿐만 아니라 통솔자로서 연출가의 기량이 중요해진다.

연출가는 배우들을 한 덩어리로 합쳐 그들의 몸동작을 '구성' 또는 조정해야 한다. 연출가는 대사에 필요한 만큼 실감을 부여하는 '무대상황'을 창조해야 한다. 또한 연출가는 디자이너·무대장치가, 그리고 때로는 안무가와 관현악단 지휘자도 감독해야 한다. 본질적으로 다른, 그리고 종종 서로 대립하는 요소들을 감독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각 부분을 전체 연극에 종속시키는 폭넓고도 통합된 시각이 필요하다.

오늘날의 영화감독들은 촬영·편집·녹음과 같은 기술적 요소뿐만 아니라 연극연출가들이 감독하는 것과 똑같은 요소들을 감독한다.

초창기의 영화감독들은 이런 기술적 요소들에 미쳐야 하는 예술적 지배력을 깨닫지 못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카메라를 한 곳에 고정한 채 짧은 연예 쇼나 서커스 및 간단한 행동이 담긴 실생활 광경을 필름에 담기만 했다. 그러나 곧 영화감독들은 관객의 관심을 특정한 장소나 인물에 집중시키기 위해 카메라의 위치와 움직임을 이용하는 법을 배웠으며 편집을 이용하여 이야기나 극의 효과를 창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영화 기술이 발전하여 소리와 색채가 도입됨에 따라 영화연출 기술은 한층 더 혁신되었다.

영화연출 기술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던 2가지 기술로 몽타주와 미장센(mise-en-scéne), 즉 장면화(場面化)가 있다. 몽타주를 선호하는 감독들은 주로 편집과 각 촬영상 간의 관계를 문제삼는다. D. W. 그리피스는 자신의 영화 〈국가의 탄생 Birth of a Nation〉(1915)에서 몽타주를 의미심장하게 사용한 최초의 감독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몽타주 이론은 특히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브세볼로드 푸도프킨 같은 1920년대 소련 영화감독들에 의해 더욱 발전했다. 장면화를 잘 하는 감독들은 한 촬영상 안의 요소들 사이의 관계, 카메라의 움직임, 구도, 조명 등과 같은 편집단계 이전의 과정에 관심을 집중한다. 장면화를 잘한 감독으로는 오손 웰즈, 막스 오퓔스, 장 르누아르, 미조구치 겐지[溝口健二] 등이 있다.

빠른 속도감과 '드러나지 않는' 편집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대부분의 전통적인 할리우드 장편 극영화에서는 몽타주와 장면화 기술이 모두 사용되지만 대개 몽타주가 더 많이 쓰인다. 생방송용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연출은 무대에서 작업하는 것과 비슷한 상황에서 진행된다. 공연은 계속되며 실수를 바로잡기 위해 중단할 수가 없다. 연출가는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동안 통제실에서 언제 한쪽 카메라가 잡는 장면에서 다른 카메라가 잡는 장면으로 옮길지를 순간적으로 결정하면서 편집을 해야 한다.

녹화방송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텔레비전 연출가들은 보통 예술적 통제력을 덜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영화감독들과 똑같은 일을 한다. 라디오 연출가의 책임은 텔레비전 연출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생방송이냐 녹음방송이냐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라디오 극의 연출가는 성우의 억양과 말투가 표현력있는 대사를 낳고 극 전체가 음악 및 음향효과와 더불어 청취자의 마음속에서 분명히 그려지도록 날카롭고 민감한 귀를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