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장의 형식과 내용

악장의 형식과 내용

다른 표기 언어

요약 궁중에서 국가의 공식적인 행사인 제향(祭享)이나 연향(宴享)이 열릴 때 쓰였던 노래 가사.

목차

접기
  1. 개요
  2. 국문악장
  3. 한문악장
  4. 현토악장

개요

악장은 음악적 성격에 따라 아악·당악·향악 등으로 나뉘며 제향·연향 등 행사의 성격에 따라서도 그 형태가 다양하다.

언어 표기의 형식에 따르면 국문악장과 한문악장, 그리고 한시에 현토(懸吐)를 한 현토악장으로 대별된다.

국문악장

정도전의 〈신도가 新都歌〉, 정극인의 〈불우헌가 不憂軒歌〉, 하륜의 〈신도형승곡 新都形勝曲〉·〈도인송도곡 都人頌禱曲〉, 작자 미상의 〈유림가 儒林歌〉, 상진의 〈감군은 感君恩〉 등이 있다.

〈신도가〉 는 천도 후 새로운 도읍지에서 나라의 위엄을 기리며 자손 만대의 번영을 기약하는 내용이다. 〈감군은〉은 우리말 노래로서 어느 정도 틀이 잡힌 형태를 보인다. 이것들은 단련형식(短聯形式), 10장 이내의 연장형식, 그리고 후렴구를 덧붙인 형식 등으로 되어 있어 고려속요를 수용한 면모를 보인다.

이보다 늦은 시기의 국문악장으로는 〈용비어천가〉·〈월인천강지곡〉이 있는데 100여 장이 넘는 장편형식이다. 〈용비어천가〉는 그 구조가 장(章) 단위로 완결되는 단시(短詩)의 성격을 지니면서 서정적 성격을 버리지 않은 교술시로 악장의 장르 형성에서 중요하게 논의되는 작품이다.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

한문악장

양적으로나 음악적 비중으로나 악장의 본래 영역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정도전의 〈정동방곡 靖東方曲〉·〈문덕곡 文德曲〉·〈납씨가 納氏歌〉, 변계량의 〈천권곡 天眷曲〉·〈응천곡 應天曲〉, 예조(禮曹)의 〈축성수 祝聖壽〉·〈악장종헌 樂章終獻〉 등이 이에 해당한다. 〈납씨가〉는 태조가 원나라 나하추(納哈出)의 침공을 물리쳤던 공적을 찬양한 노래이다. 〈정동방곡〉은 동방을 평정한 공적을 기리면서 위화도 회군을 다룬 것으로, '위'(偉)로 시작되는 후렴구가 특이하며 경기체가와 흡사한 면이 있다.

〈정동방곡〉·〈납씨가〉와 같은 작품은 태조의 무덕(武德)을 칭송했기 때문에 〈무덕곡〉으로 통칭되기도 한다. 〈문덕곡〉은 태조가 실행해야 할 정치의 도리를 제시한 점에서 〈무덕곡〉과 대조된다. 〈납씨가〉는 5언4구, 〈정동방곡〉은 3언4구(6언2구), 그리고 〈문덕곡〉은 7언6구이다. 이 세 곡은 원래 한문악장으로 창작되었던 것인데 뒤에 현토악장으로 바뀌었다.

한시의 형식이 두루 쓰였는데 시경체와 초사체에 가깝다. 변계량의 〈천권곡〉·〈응천곡〉은 임금의 만수무강을 기원한 노래로 고려속요의 후렴구 형태를 수용한 면모를 보인다. 〈천권곡〉은 3언4구 5장으로 '위만수무강'이라는 후렴구가 있으며, 〈응천곡〉은 3언4구 10장으로 '하천복록'(荷天福祿)이라는 후렴구가 있다.

〈축성수〉·〈악장종헌〉 역시 임금의 성덕을 기리는 내용인데 3언4구의 한시에 후렴구가 붙어 있다. 특히 〈축성수〉는 경기체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서 후렴구에 '위영하황은경하여'(偉永荷皇恩景何如)가 있는 것이 특색이다. 일련의 한문악장이 경기체가나 속요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우리말 시가의 형식적 원리를 수용한 초기 한문악장은 그 역사적 전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토악장

한문악장과 국문악장의 중간적 위치에 있는데 작품세계의 독자성보다는 한시를 국문시가화하는 형태적 이행과정이 눈길을 끈다.

앞서 말한 〈문덕곡〉·〈납씨가〉·〈정동방곡〉 외에 윤회의 〈봉황음 鳳凰吟〉, 작자 미상의 〈북전 北殿〉, 예조(禮曹)의 〈경근곡 敬勤曲〉이 현토악장에 속한다. 현토악장이 훈민정음의 창제와 더불어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보아 훈민정음의 창제가 악장의 장르 형성에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훈민정음
훈민정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