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텍족

아스텍족

다른 표기 언어 Aztec

요약 나와틀어(語)를 쓰는 종족.

아스텍족
아스텍족

15세기부터 16세기초까지 지금의 멕시코 중부와 남부 지역에서 큰 제국을 지배했다.

아스텍이라는 부족명은 멕시코 북부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이들의 발상지 아스틀란('흰 땅')에서 나왔다. 테노츠라는 시조(始祖)의 이름을 따서 테노치카족이라고 했고, 텍스코코 호의 신화적인 명칭 메츨리아판('달의 호수')을 따서 멕시카족이라고도 했다. '테노치카'에서 테노치티틀란이라는 아스텍족의 대도시 명칭이 생겨났다. 또한 '멕시카'에서 아스텍의 수도를 대신하게 된 도시와 주변 계곡을 가리키는 멕시코라는 이름이 생겨났는데, 뒤에는 현대의 멕시코 전체를 가리키게 되었다.

그들 스스로는 멕시코 계곡에서 가장 문명화된 종족의 중심지인 콜우아칸과 연관을 짓기 위해 쿨우아멕시카라고 했다.

이 종족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아스텍 전설을 살펴보면 12세기 무렵 중앙 아메리카에 나타나기 전 멕시코 북부 고원지대에 살던 수렵채집인이었던 듯하다. 그러나 아스틀란이 전설의 나라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스텍족이 남쪽으로 이주한 것은 톨텍 문명이 붕괴함에 따른, 또는 붕괴의 시초가 된 전체적인 이동의 일부였던 듯하다. 텍스코코 호에 있는 여러 섬에 정착했으며, 1325년 중심 도시인 테노치티틀란을 세웠다. 큰 국가뿐 아니라 제국까지 세울 수 있었던 것은 훌륭한 농업제도 덕분이었는데, 정교한 관개시설과 저습지 간척,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토지에 작물을 재배하는 집약농업이 특징이었다.

이러한 농사방법으로 생산성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인구가 사는 부유한 국가가 생겨났다. 지배자 이츠코아틀 시대(1428~40)에 테노치티틀란은 이웃 국가 텍스코코 및 틀란코판과 동맹을 맺어, 멕시코 중부지역을 지배하는 강대국이 되었다. 그뒤 상업과 정복을 통해 400~500개에 이르는 소(小)국가로 이루어진 제국을 지배하게 되었는데, 전체 제국의 인구는 약 500만~600만 명, 총면적은 20만 7,200㎢에 이르렀다.

절정기에는 테노치티틀란 자체 영토만 13㎢가 넘었고, 인구는 14만 명 이상으로서 중앙 아메리카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높은 국가가 되었다. 아스텍 제국은 군대가 지배하는 전제주의 국가였다. 여러 계급으로 나누어져 있으면서도 수직적인 이동이 심하던 아스텍 사회에서는 전쟁에서 용맹을 떨치는 것이 실제로 신분상승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었다.

사제와 관료 계급이 제국의 행정을 맡았으며, 사회 맨 밑바닥에는 농노, 하인, 순수 노예계급이 있었다.

종교는 다른 중앙 아메리카 문화에서 여러 가지 요소를 흡수함으로써 절충주의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근본적으로 이전의 종족들, 특히 마야족의 우주관 가운데 많은 부분을 공유했는데, 예를 들면 현재의 세계는 일련의 세계 창조와 소멸의 과정 속에 자리한 마지막 세계이며, 13개의 천국과 9개의 지하세계로 이루어진 우주체계의 한 부분이라는 관념이 있었다. 아스텍의 신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신은 전쟁의 신 우이칠로포치틀리, 태양신 토나티우, 비의 신 틀라록, 날개 달린 뱀 케찰코아틀이었다.

케찰코아틀은 반신반인의 신화적 인물이었다. 일부러 피를 내는 것말고도 인간을 희생제물로, 특히 심장을 태양신에게 바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아스텍 종교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은 역법(曆法)이었다. 사제가 담당하는 제의와 의식의 정교한 주기는 아스텍력(曆)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아스텍력은 중앙 아메리카 대부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했는데, 365일을 주기로 하는 태양년과 260일을 주기로 하는 신성한 해로 이루어져 있었다. 두 주기는 함께 순환하면서 52년으로 된 더 큰 주기를 이루었다.

아스텍 제국은 영토를 확장하는 등 계속해서 사회가 발전하는 도중에 1519년 스페인 탐험가들이 나타남으로써 결국 멸망하게 되었다. 마지막 황제 몬테수마 2세(1502~20 재위)는 에르난 코르테스의 포로가 되어 감옥에서 죽었고, 아스텍 제국은 우수한 무기로 무장한 유럽인들에게 순식간에 정복되었다.→ 아메리카 대륙 발견 이전의 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