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왕 전설

아서 왕 전설

다른 표기 언어 Arthurian legend 동의어 브리튼 이야기, matter of Britain

요약 전설적인 아서 왕을 중심으로 한 갖가지 일화와 중세 로맨스로 이루어진 이야기.
브리튼 이야기라고도 함.

성배(Grail)
성배(Grail)

여러 중세 작가 특히 프랑스 출신의 작가들이 아서의 출생에 대한 일화, 기사들이 벌이는 모험, 왕비인 귀네비어와 기사인 랜슬롯 경의 불륜의 사랑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예수가 최후의 만찬에서 사용한 뒤 아리마태아의 요셉에게 주었다는 성배 탐색, 귀네비어와 랜슬롯의 불륜의 사랑 때문에 결국 기사들 사이의 우정은 깨지고 아서는 죽으며 왕국도 파멸을 맞는다.

아서와 그의 왕실에 관한 이야기는 11세기 전에 웨일스 지방에서 큰 인기가 있었다. 이 이야기가 유럽에서도 유명해진 것은 몬머스의 제프리가 〈브리튼 왕 열전 Historia regum Britanniae〉(1135~39)을 쓰면서부터였다.

이 이야기는 동부 프랑스에서 로마군을 무찌르고 영광스럽게 개선했으나 조카 모드레드가 이끄는 반란군과 싸워 치명상을 입은 한 왕을 찬양하는 내용이다. 제프리가 쓴 이야기의 일부분은 아주 그럴 듯하게 꾸민 허구이며, 켈트족의 이야기를 다룬 몇 군데는 봉건시대의 상황에 알맞게 고쳐 썼다. 아서를 세계 정복자로 보는 것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나 샤를마뉴 대제와 같은 위대한 제후들의 전설에서 그 영향을 받았다. 저지의 웨이스나 라야몬을 비롯한 후대 작가들은 특히 아서와 기사들 간의 우정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를 손질했다.

12세기말 켈트족 이야기에서 소재를 빌려온 크레티앵 드 트루아는 5편의 로맨스에서 아서를 불가사의한 힘을 가진 통치자로 설정하고, 또 아서 왕의 전설에 성배를 찾는 내용을 덧붙였다.

13세기 산문형식의 로맨스가 다루기 시작한 2가지 주제는 성배를 차지하는 일과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사랑이다. 랜슬롯을 주인공으로 한 초기의 산문형식 로맨스는 여러 이야기를 묶어서 만든 '산문체 랜슬롯' 혹은 통속 연작(Vulgate cycle:1225경)으로 알려진 작품의 핵심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

랜슬롯이라는 주제는 그의 아들이며 고결한 기사인 갤러해드 경을 통해 성배 이야기로 연결된다. 갤러해드는 성배를 통해 신의 모습을 깨닫지만 랜슬롯은 귀네비어와의 불륜으로 신비한 모험의 길을 계속 추구할 수 없었다. 통속 연작에 실린 2번째 이야기는 13세기초 로베르 드 보롱이 쓴 운문 로맨스 〈메를랭 Merlin〉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아서의 출생과 어린시절, 돌에서 마법의 칼 엑스캘리버를 뽑아내 왕위에 오르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통속 연작을 쓴 작가는 보롱의 이야기를 산문으로 바꾸고 아서의 군사적 업적을 역사에 정말 있었던 것처럼 집어넣었다. 이 연작의 마지막 이야기에는 아서의 로마 작전, 모드레드와 싸운 기록 등이 실렸으며, 또한 다시 시작한 랜슬롯과 귀네비어의 불륜의 사랑으로 가윈 경과 랜슬롯 사이에 불행한 싸움이 벌어진다는 내용이 들어갔다. 그뒤 '속(續)불가타판 성배 이야기'(1240경)로 알려진 산문체 로맨스에는 아서 왕의 전설,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이야기를 함께 묶고 있다.

통속 연작과 속불가타판에 실린 이야기는 토머스 맬로리가 15세기말에 쓴 산문 〈아서의 죽음 Le Morte d'Arthur〉을 통해 영어권 독자들에게 전해졌다.

이와 같은 때 몬머스의 제프리가 쓴 〈브리튼 왕 열전〉에 대한 관심도 다시 일어났으며 거기에 실린 가상의 브리튼 섬 왕들은 대체로 공식적인 민족 건국신화에 흡수되었다. 17세기에 아서 왕 전설은 영국 내에서 인기가 있었으나 18세기에는 단지 옛 것이라는 정도로만 여겨지다가 빅토리아 시대의 문학에서 다시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그 예가 앨프레드 테니슨의 〈왕의 노래 Idylls of the King〉이다. 20세기 들어 미국의 시인 에드윈 앨링턴 로빈슨이 아서에 대한 3부작을 썼으며, 영국에서는 T. H. 화이트가 아서의 이야기를 개작하여 〈영원한 왕 아서 The Once and Future King〉(1958)라는 소설집을 냈다. 앨런 러너와 프레데리크 뢰웨는 화이트의 작품을 토대로 〈캐멀롯 Camelot〉(1960)이라는 뮤지컬을 만들었다.→ 성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