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돌방무덤

벽돌방무덤

요약 벽돌을 이용해 만든 무덤 가운데, 널길과 널방을 갖춘 무덤.
무령왕능 벽돌방무덤

무령왕능 벽돌방무덤

벽돌을 이용해 만든 무덤 가운데, 벽돌로 널방[玄室(현실)]을 만든 무덤을 말한다. 대체로 굴식[橫穴式(횡혈식)] 구조를 띠며, 세부적으로는 외방무덤[單室墓(단실묘)]과 두방무덤[二室墓(이실묘)] 외에 옆방[側室(측실)]까지 갖춘 여러방무덤[多室墓(다실묘)]까지 다양한 형식을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무덤 주인공의 지위와 관련한 것으로 이해된다.

벽돌방무덤은 일반적으로 맨땅에 깊이 1m 정도의 구덩이를 파고 바닥에 벽돌을 깔고 벽을 쌓아 올려서 문이 있는 널방을 만든 다음 그 위에 흙을 덮어서 봉분을 만든다. 바닥에는 벽돌을 두 벌 깔았고, 벽은 벽돌을 눕히고 세우는 것을 되풀이하면서 쌓아 올렸는데, 제일 밑에서부터 조금 안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궁륭식(穹窿式) 천장을 만들었다. 그리고 널방 앞 벽에 짧은 널길[羨道(연도)]을 만들었고, 밖으로는 무덤 바깥길[墓道(묘도)]이 나 있다. 천장은 벽돌로 천장을 좁히면서 궁륭식 천장을 만드는 것이 전형적이다. 다만 세부적으로는 돔형과 터널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서북한 지역의 벽돌무덤에서는 돔형의 천장만 확인되고, 터널형의 천장은 백제 벽돌무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거 낙랑군과 대방군이 설치되었던 평양을 중심으로 서북한 일대에서 2세기경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해서 3~4세기에 가장 활발하게 만들어졌으며, 고구려가 낙랑군과 대방군 지역을 차지한 이후에도 한동안 벽돌무덤의 전통이 이어졌다.

한편 웅진 도읍기 백제에서도 벽돌방무덤이 확인되는데, 매우 예외적인 존재로 파악된다. 중국 남조와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그들의 벽돌무덤을 받아들인 것으로, 공주 무령왕릉(武寧王陵)과 송산리(宋山里) 6호분, 교촌리(校村里) 3호분의 3기만 알려져 있다. 이들 벽돌방무덤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당시 만들어진 많은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墓]과 같고, 돌 대신에 벽돌을 사용한 차이만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