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얄기법

귀얄기법

요약 분청사기 장식기법의 하나로 넓고 굵은 붓을 이용해 표면에 백토를 바르고 붓자국을 그대로 남겨 장식으로 삼은 것을 말한다.
귀얄무늬 큰 사발

귀얄무늬 큰 사발

귀얄기법은 조선시대 초기 주를 이루었던 분청사기(粉靑沙器)의 분장(粉粧)기법의 하나로, 15세기 중엽~16세기 초 널리 사용되었다. 

'귀얄'은 본래 풀이나 옻을 칠할 때 쓰는 붓의 일종인 '풀비'를 의미한다. 풀비 혹은 돼지털이나 말총을 사용한 넓고 굵은 붓으로 그릇 표면에 백토를 얇게 발라 칠하면 붓의 털 자국이 그릇 표면에 남게 되는데, 붓이 지나간 곳은 백토의 흰색을 띄고, 붓이 지나지 않은 곳은 암갈색의 태토 색상을 그대로 나타나게 된다. 이 자국을 그대로 남겨 장식으로 삼은 것이 귀얄기법이며, 태토와 백토의 두 색의 대비가 이루는 무늬를 '귀얄무늬' 혹은 '귀얄문'이라고 한다.

역사

분청사기는 고려청자와 조선백자 사이에 유행했던 것으로, 장식기법 등의 측면에서 과도기적 성격을 지닌다. 초창기에는 고려청자의 장식기법을 계승한 듯 조각적인 장식에 치중했다면 점차 붓을 사용하고 태토의 색을 백자에 가까운 백색으로 치장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귀얄기법은 백토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자 했던 시기에 자주 채용된 기법으로, 상감기법이나 무늬가 새겨진 작은 도장을 찍어 패인 부분에 백토를 채우는 인화(印花)기법이 쇠퇴하던 15세기 중반 유행했으나, 15세기 후반 백자(白瓷) 생산의 본격화로 16세기 중엽 분청사기 생산이 감소하며 함께 쇠퇴하였다.

특징

귀얄기법은 분청사기의 여러 분장·장식 기법 중에서도 작업 속도 가속화에 용이하여 대량 생산에 더욱 적합하며 붓자국이 주는 자유로우면서도 즉흥적인 매력이 있다. 제작자의 필치에 따라 나타나는 대범하고 힘찬 운동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귀얄기법의 즉흥적이면서도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은 일본인들 사이에서도 호평을 받아, '하케메(刷毛目)'라 불린 귀얄기법을 사용한 분청사기가 다도에 사용되는 다기(茶器)로 널리 애용되기도 했다.

제작방법

태토에 넓고 굵은 붓으로 백토를 바른다. 초벌구이 후 유약을 바르고 가마에 넣어 굽는다. 붓이 지나간 부분은 백토의 흰 색을, 붓이 지나가지 않은 부분은 태토의 검붉은 색으로 나타나며 귀얄무늬를 형성하게 된다.

카테고리

  • > > >
  • > >
  • > > >

관련이미지

귀얄무늬 항아리

귀얄무늬 항아리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5세기 후반~16세기. 조선.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