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티딘

히스티딘

[ histidine ]

히스티딘(histidine)은 이미다졸릴메틸(imidazolylmethyl) 작용기를 가지고 있는 알파-아미노산(alpha-amino acid)이다. 기호로 표시할 때 His 또는 H로 표시한다. 히스티딘은 인간 및 기타 포유류에서 필수 아미노산으로 분류된다. 코돈(codon) CAU와 CAC에 의해 인코딩(encoding)된다.1)

이름 히스티딘(histidine)
다른 이름 L-히스티딘(L-histidine) D-히스티딘(D-histidine)
IUPAC 명 (S)-2-아미노-3-(1H-이미다졸-4-일)프로판산 (S)-2-amino-3-(1H-imidazol-4-yl)propanoic acid (R)-2-아미노-3-(1H-이미다졸-4-일)프로판산 (R)-2-amino-3-(1H-imidazol-4-yl)propanoic acid
CAS 번호 71-00-1 351-50-8
분자식 C6H9N3O2
분자량 155.16 g/mol
성상 흰색 고체 흰색 고체
밀도 1.6 g/cm3 (22 oc) 1.4 g/cm3 (계산값)2)
녹는점 282 oC(분해) 280 oC(분해)2)
용해도 물(4.19 g/100 g, 25 oc) 물(41 mg/mL, 20 oc)2)

목차

구조

이미다졸의 4번 위치에 있는 탄소에 메틸이 있는 치환기를 가진(1H-이미다졸-4-일)메틸( [1''H''-imidazol-4-yl]methyl) 알파-아미노산이다. 알파-아미노산에서 알파는 카복실산(carboxylic acid)의 알파 위치에 아민(NH2) 치환기가 있다는 뜻이다. 카이랄(chiral) 알파 탄소의 절대 위치배열(absolute configuration)이 (S)인 것을 L-히스티딘, (R)인 것을 D-히스티딘이라고 부른다.

L-히스티딘과 D-히스티딘의 구조 및 IUPAC 명명법: 카이랄 탄소의 절대 위치 배열(출처: 대한화학회)

여기서 주의할 것은 모든 아미노산의 명명법에서 절대 위치배열 (S)/(R)과 L/D-기호는 항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히스티딘의 카이랄 알파 탄소의 우선 순위는 NH2 > COOH > CH2-이미다졸 순서인데 반해, 히스티딘의 CH2-이미다졸이 CH2SH 로 바뀐 시스테인(cysteine)의 경우에는 우선 순위가 NH2 > CH2SH > COOH 이므로 절대 위치배열이 (R)인 것이 L-시스테인, (S)인 것이 D-시스테인이 된다.

L-시스테인과 D-시스테인의 구조 및 IUPAC 명명법: 카이랄 탄소의 절대 위치 배열(출처: 대한화학회)

중성 pH에서 암모늄(ammonium; NH3+)과 카복실레이트(carboxylate; COO-) 쯔비터 이온(zwitterion) 형태로 존재한다. 자연계에 있는 단백질에 존재하는 히스티딘은 대부분 L-히스티딘이다. 히스티딘은 이미다졸이 염기(base) 역할을 하여 염기성으로 분류되고, 또 다른 염기성 알파-아미노산으로는 라이신(lysine)과 아지닌(arginine)이 있다. 치환체 이미다졸릴메틸은 극성/비극성(polar/non-polar) 분류시 극성으로 분류된다.

생체 내에서 히스티딘의 이미다졸은 양성자(proton; H+)를 받아 이미다졸륨(imidazolium) 양이온으로 존재한다. 히스티딘의 pKa1 = 1.82 (카복실산: COOH, α-carboxyl group), pKa2 = 9.17 (암모늄: NH3+, α-ammonium ion), pKa3 = 6.00 (이미다졸륨; side chain group) 이며, 등전점(isoelectric point)은 7.64이다.

혼성화(hybridization): 히스티딘의 이미다졸에 존재하는 두 개의 질소 중 수소와 결합하고 있는 질소는 sp2 혼성화되어 있으며, 비공유 전자쌍은 p 오비탈에 존재함과 동시에 방향성(aromaticity)에 참여한다. 한편, 이미다졸 구조에서 탄소와 이중 결합을 하고 있는 다른 하나의 질소 역시 sp2 혼성화되어 있으나, 비공유 전자쌍은 sp2 오비탈에 존재하며 방향성에 참여하지 않는다.

히스티딘 이미다졸륨의 공명구조: 히스티딘의 이미다졸이 산성 조건 하에서 이미다졸륨으로 존재 시, 공명구조에 의해 두 질소에 양이온의 성질이 골고루 분포하게 된다(출처: 대한화학회).

공명 구조(resonance structure): 히스티딘의 이디다졸이 산성 조건 하에서 이미다졸륨 양이온으로 존재 시, 이미다졸의 두 질소 중 하나의 질소에만 양이온이 존재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공명 구조에 의해 두 개의 질소에 양이온의 성질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이때 두 공명구조 사이의 관계를 토토머(tautomer)라고 부른다.  

역사

히스티딘은 1896년에 독일 생화학자 알브레히트 코셀 (Albrecht Kossel, 1853-1927)과 스웨덴의 화학자이자 생리학자인 스벤 헤딘(Sven Gustaf Hedin, 1859–1933)에 의해 처음으로 분리되었다.3) 코셀은 핵산의 화학 조성을 규명한 공로로 1910년에 의학 및 생리학 분야의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삼합체 촉매

히스티딘의 이미다졸이 가진 산-염기 특성은 효소의 촉매 작용기전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히스티딘의 이미다졸이 염기로 작용하면서 세린쓰레오닌(threoinine)의 하이드록시(hydroxy; OH), 시스테인의 머캅토(mercapto; SH) 작용기에 있는 수소를 떼어내어 각각의 작용기를 더 좋은 친핵체(nucleophile)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얻어진 이미다졸륨의 수소는 즉시 주위의 물이나 다른 염기로 작용할 수 있는 작용기에 의해 수소를 방출하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수소 셔틀(proton shuttle)로 작용하게 된다. 가수분해 효소(hydrolase) 또는 트랜스퍼레이스(transferase)와 같이 공유 결합을 생성하는 촉매 반응(covalent catalysis)을 하는 효소의 활성 자리(active site)에 있는 산-염기-친핵체의 삼합체 촉매(catalytic triad) 구조에서 히스티딘은 염기의 역할을 하여, 친핵체의 친핵성(nucleophilicity)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삼합체 촉매(catalytic triad)에서 히스티딘의 역할: 효소의 활성 자리(active site)에 있는 산-염기-친핵체의 삼합체 촉매 구조에서 히스티딘은 주로 염기 역할을 한다(출처: 대한화학회).

위 그림에서처럼 효소 골격의 아스파트산(aspartic acid; ASP)-히스티딘-세린(serine; Ser)은 각각 산-염기-친핵체의 역할을 한다. 이때 이 세 개의 아미노산이 형성하는 구조를 삼합체 촉매라고 한다.

생물학적 용도 및 기능

일반적으로 히스티딘의 이미다졸은 효소 촉매 반응에 참여한다. 비 양성자화된(unprotonated) 이미다졸은 친핵성(nuclophilic)이고 일반적인 염기로 작용할 수 있는 반면, 양성자화된(protonated) 형태는 보통 산(acid) 역할을 한다. 히스티딘은 단백질 고유의 접힌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역할도 한다.

히스티딘의 생체내 반응

-히스티딘은 체내에서 히스티딘 디카복실레이스(histidine decarboxylase) 효소에 이산화 탄소(carbon dioxide; CO2)가 생성되면서 염증 반응(response)에 관여하는 아민(amine)인 히스타민(histamine)으로 바뀐다. 이 반응에서 생성된 히스타민은 면역 반응의 주요한 염증제 역할을 한다.

-히스티딘 암모니아-라이에이스(histidine ammonia-lyase) 효소는 히스티딘을 암모니아와 유로칸산(urocanic acid)으로 분해시킨다.

-히스티딘의 이미다졸에 있는 두 개의 질소 중 수소와 결합하고 있는 질소에 메틸화반응(methylation)이 일어나 골격근 손상의 바이오마커 역할을 하는 3-메틸히스티딘(3-methylhistidine)이 합성된다.

독성

F344쥐(rat)을 이용한 독성 시험 결과, 최고 2.5% 농도의 L-히스티딘 염산(HCl) 염은 특별한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4)

참고문헌

1. .
2.
3. Vickery HB, Schmidt CLA. The history of the discovery of the amino acids. Chem. Rev. 1931, 9, 169-318.
4. Long-term Toxicity/Carcinogenicity Study of L-histidine Monohydrochloride in F344 Rats. Food Chem Toxicol. 1996, Aug. 34 (8), 687-691. doi: 10.1016/0278-6915(96)00033-6.

동의어

히스티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