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정신총동원운동

국민정신총동원운동

[ 國民精神總動員運動 ]

요약 1930년대 말 일제가 침략 전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자 전국민을 전시 동원 체제에 협조하게 만들기 위해 벌인 관제 운동.

1937년 7월 중일전쟁을 도발한 일제는 전국민을 조직화하여 전쟁에 동참하게 하는 체제를 확립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같은 해 10월 국민정신총동원 중앙연맹을 결성하고, 정부 주도의 관제 운동으로서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을 전개하였다. 나아가 1938년 4월에는 ‘국가총동원법’을 공포하여 전시 총동원 체제를 법제화했다. 이 법은 일본 본토 외에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선과 대만, 사할린에서도 시행되었는데, 전시 동원의 책무를 식민지 주민들에게까지 부여한 것이다. 일제는 전시 통제와 동원에 대한 저항을 무마하고, 참여를 이끌어내려는 목적으로 식민지 지역으로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을 확대하였다. 조선에도 1938년 7월 7일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연맹(이하 '조선연맹')이 설치되어 운동을 주도해 나갔다.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의 구체적인 내용은 조선연맹의 실천강령을 통해 잘 드러나는데, '1. 황국정신 현양 2. 내선일체 완성 3. 비상시 국민생활 혁신 4. 전시 경제정책 협력 5. 근로 보국 6. 생업 보국 7. 군인원호 강화 8. 방공(防空) 방첩 9. 실천망의 조직과 지도의 철저' 등이었다. 황국신민화정책, 전시 동원 정책에 대한 협력을 강요하려는 것이었다. 일제는 한국인을 각종 관제 행사에 참여시켜 '일본 정신'으로 재무장하게 하고, 일본어 상용화·창씨개명·신사참배·황민화교육·지원병제도 등 내선일체(內鮮一體)를 위한 황국신민화 정책을 조선 사회 전반에 보편화시키고자 했다. 또한 비상시 국민 생활 기준 양식 실행, 국산품 애용, 철저한 소비 절약과 저축, 근로 강조 등을 통해 전시 동원 정책에 동참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일상을 철저히 통제하는 방식으로 전시 동원 체제에 대한 자발적 동참을 이끌어내는 것은 쉽지 않았다. 일제의 강압과 수탈에 대한 저항이 계속되는 현실에서 전쟁은 더욱 확대되고 있었다. 일제는 1940년 10월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연맹을 국민총력 조선연맹으로 개편하면서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을 '국민총력운동'으로 전환하여 총력전을 위한 통제 정책을 더욱 강화하였다.

참조항목

일본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