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과 형태

형과 형태

[ Shape&Form , 型과 形態 ]

요약 사물의 총체적이며 개별적인 생김새나 모양을 의미한다. 형(shape)은 평면, 형태(form)는 주로 입체의 모양을 가리킨다.

조형요소 중 하나로 다른 것과 구별되는 특징을 지닌 사물의 개별적인 생김새나 모양을 의미한다. 평면에서 의 변화로 형성된 모양을 ‘형(shape)’이라 하며,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크기·색채·양감 등의 다양한 요소를 갖춘 경우를 ‘형태(form)’라 구분한다. 하지만 평면의 이미지일지라도 명암의 표현과 선, 색조 변화 등을 통해 양감이나 부피감을 부여해 3차원으로 보여지도록 표현하기도 하기 때문에 두 단어는 자주 혼용하여 사용한다.

형과 형태는 ·선·면보다 더 구조적이고 완전한 양감과 공간감을 지닌다. 조형예술에서는 구체적인 형상을 그린 구상 작품과 추상적인 비구상 작품 모두에서 형과 형태가 주요한 역할을 한다.

형과 면의 차이

평면의 모양을 가리키는 형(shape)은 평면인 면(plane)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닫혀있는 영역으로 길이와 너비를 갖는다. 면이 여러 경계선 내부의 평평한 표면이라면, 형은 면보다 더 구조적이고 구체적이며 복잡한 모양을 갖는다. 무엇보다도 다른 것들과 구별되는 개별적 특징을 갖는다는 점에서 면과 차이가 있다.

기하학적 형과 유기적 형

원이나 삼각형·사각형·육각형 등으로 불리는 모양을 기하학적 형이라고 하는데, 자주 차갑고 인위적인 느낌을 준다. 기하학적 형은 자연으로부터 나온 모양은 아니지만, 근현대 회화작품에서 볼 수 있는 기하학적 형은 자연물을 보다 본질적이고 단순하게 표현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나온 것이 많다. 그 예로, 유럽의 폴 세잔이나 한국의 유영국 등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기하학적 형태들은 자연의 사물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며, 피에트 몬드리안의 추상도 자연의 형태를 점차적으로 단순화시켜 완전한 추상으로 나아가고자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연관 없이 순수하게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를 작품을 전개한 예술가들도 있다.

유기적 형은 기하학적 형에 비해 자연스럽고, 불규칙적이며 복잡하고, 자유로운 모양을 말한다. 기하학적 형보다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인물·동물·식물 등 유기적이고 살아있는 자연의 모양을 이루기도 한다. 2차원의 평면에서 유기적인 형태를 추상화로 잘 표현한 작가로는 앙리 마티스가 있다.

디자인에서는 기하학적 형태로 경계가 뚜렷하게 표현되는 경우가 많지만, 많은 미술작품에서 형과 형태는 유기적이거나 비대칭적인 것 등으로 광범위하게 표현된다. 원과 점은 기하학적 형으로도, 유기적 형으로도 해석된다.

형과 형태 본문 이미지 1

참조항목

, 조형요소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