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감기

반감기

[ half-life ]

반감기(半減期, half-life)는 어떤 양이 초깃값의 절반이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t1/2 혹은 λ로 표시하기도 한다. 원래 개념은 방사성 붕괴에서 기인하였지만 반응 속도론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도 널리 쓰인다.1) 2)

목차

반응 속도론 관점에서 정의

다음과 같은 반응을 생각해보자.

@@NAMATH_INLINE@@\ce{ A -> B }@@NAMATH_INLINE@@

시간 t에서 반응물 A의 농도 [A]t가 반응물의 초기 농도 [A]0의 절반이 되는 시간, 즉 [A]t = (1/2)[A]0인 시간이 반감기이다.

일반적으로 반감기는 반응 차수와 반응물의 초기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 1차 반응은 반응물의 초기 농도에 무관하게 반응속도 상수 k에 의존하는 반감기를 보인다.

[A]t = [A]0e-kt

(1/2)[A]0 = [A]0e-kλ

λ = (ln 2)/k

여러 분야에서 이 특성을 활용하며, 대표적인 1차 반응은 단일분자반응, 방사성원소 핵붕괴 반응 등이다.

아래 표는 반응 후 반응 시간과 남은 양 비율을 나타내었는데, 이때 반응 시간은 반감기로 나눈 값이다.

반응 시간 0 1 2 3 4 5 6 7 8
남은 양 비율 1 1/2 1/4 1/8 1/16 1/32 1/64 1/128 1/256
남은 양 (퍼센트) 100 50 25 12.5 6.25 3.125 1.5625 0.78125 0.390625

방사성 핵붕괴 반응

방사성 핵은 안정한 원자핵이 만들어질 때까지 연속적인 핵분열 반응을 일으킨다. 1907년 러더포드는 방사성 물질의 핵붕괴 반감기가 일정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반감 기간(half-life period)이라는 용어를 썼는데, 1950년대 들어 반감기로 쓰고 있다. 방사성 핵붕괴의 반감기는 1µs 보다 짧은 것부터 십억 년 이상까지 매우 긴 것까지 다양하다.

여러 동위원소의 반감기. 특정한 동위원소의 핵붕괴 반감기를 색으로 표시하였다. Z: 양성자수, N: 중성자 수 ()

러더포드는 방사성 원소의 반감기가 일정하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라듐이 납-206으로 변환된 정도를 측정하고 암석의 나이를 추정하였다.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 측정법이라고 불리는 이 방법은 물체에 포함된 특정한 방사성 동위원소들의 반감기와 비율을 이용하여 그 물체의 연대를 측정하는 데 이용된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放射性炭素年代測定法, radiocarbon dating)은 유기물 중 탄소에 포함된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14C)의 조성 비율을 측정하여 유기물이 포함된 물체가 만들어진 연대를 추정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측정 방법의 하나이다. 간단하게 탄소 연대 측정법이라고도 부른다.3)4)5)

탄소-14는 대기 중 질소와 우주선(cosmic ray)이 충돌하여 만들어진다.

@@NAMATH_DISPLAY@@^{14}_{7} N + \,^{1} _0 n \longrightarrow \,^{14}_{6} C + \,^{1} _1 H @@NAMATH_DISPLAY@@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흡수하는 이산화 탄소로 생물권으로 들어온 탄소-14 동위원소는 그 후 다양한 탄소 순환계에 참여하는데, 방사능 붕괴를 통해 없어진다. 탄소-14는 다음과 같이 베타 붕괴를 한다.

@@NAMATH_DISPLAY@@^{14}_{6} C \longrightarrow \,^{14}_{7} N + \,^{0}_{-1} e @@NAMATH_DISPLAY@@

대기 중 탄소-14 비율은 오랜 기간 동안 비교적 일정하며 식물은 광합성, 동물은 호흡을 통해 대기 중 탄소를 주고받기 때문에 살아 있는 동물과 식물이 가지고 있는 탄소-14의 비율은 공기 중 비율과 같다. 동물이나 식물이 호흡을 멈추면 외부와 격리되며 탄소-14만 방사성 붕괴를 하여 감소하므로 탄소-12 등과의 조성 비율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여러 해가 지난 목제 가구는 살아 있는 나무에 비해 탄소-14의 비율이 낮다.

탄소 연대 측정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상은 고고학 유물이다. 탄소-14의 반감기는 약 5730년이며, 이를 이용하여 1000년에서 5만년까지의 연대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1950년을 기준으로 인류의 핵실험에 의해 대기 중 탄소-14의 양이 인위적으로 변화하였기 때문에, 오랫동안 살아있는 나무를 이용하여 탄소-14의 조성 비율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6)

이 기술은 시카고 대학교의 리비(Willard F. Libby)가 1949년 개발하였으며, 그는 이 업적으로 1960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7)8)

참고문헌

1. 레이몬드 창, 기본 일반화학, 제7판, 사이플러스 (2015). 14장 화학 반응 속도론.
2. 레이몬드 창, 기본 일반화학, 제7판, 사이플러스 (2015). 21장 핵화학.
3.
4. , 위키백과.
5.
6.
7.
8. , sciencetimes.

동의어

반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