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꽃과

붓꽃과

[ Iridaceae ]

붓꽃과는 외떡잎식물군 중 비짜루목(Asparagales)에 속하는 식물군으로 66개 속, 2,600여 종을 포함하는 과이고, 많은 관상용 식물을 포함한다.

타래붓꽃 (출처: 한국식물학회, 안진흥)

목차

형태적 특징

붓꽃과 식물들은 의 앞뒤가 구별되지 않고 거치가 없는 홑잎을 갖는다. 나란히맥을 갖고, 기부에 엽초(잎집)를 갖고 있으며, 턱잎은 없다. 꽃차례는 유한꽃차례로 대부분 안목상취산꽃차례(scorpioid cyme)를 갖는다. 붓꽃과의 대표적 식물인 붓꽃(Iris nertschinskia)의 꽃은 양성화이고 화려하며, 1~2개의 포를 갖는다. 꽃받침꽃잎과 유사한데, 세 개의 꽃받침은 곧추서고, 세 개의 꽃잎에는 수술이 붙어있다. 암술에서 암술대는 꽃잎과 같이 화려하고, 씨방은 세 개의 격막으로 나뉘어 있고, 자방상위의 중축태좌를 갖는다. 과실은 삭과이다.1)

붓꽃 꽃의 해부. A. 바깥쪽 꽃잎. B. 안쪽 꽃잎과 여기에 붙어 있는 수술. C. 암술의 씨방과 꽃잎 같이 생긴 암술대. D. 씨방의 단면. (출처:김상태)

Goldblatt et al. (2008)에 의한 과 내 분류에 의하면 붓꽃과는 Isophysidoideae, Iridoideae(붓꽃아과), Patersonioideae, Geosiridoideae, Aristeoideae, Nivenioideae, Crocoideae의 7개의 아과로 나뉘는데, 이들은 DNA에 의한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의한 계통수와 잘 일치한다.2) 우리나라의 자생 붓꽃은 모두 붓꽃아과에 속한다.

우리나라의 붓꽃과 식물

우리나라에는 약 22종이 분포하는데, 전 세계에서 한국에만 서식하는 한국의 고유식물로는 노랑붓꽃(Iris koreana), 노랑무늬붓꽃(Iris odaesanensis), 흰각시붓꽃(Iris rossii f. alba), 진보라붓꽃(Iris sanguinea var. violacea), 흰등심붓꽃(Sisyrinchium angustifolium f. album)이 있다. 이들 중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식물은 노랑무늬붓꽃과 노랑붓꽃이 있고, 대청부채(Iris dichotoma) 또한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식물이다.

붓꽃. (출처:김상태)

경제적 이용

크로커스(Crocus sativus)는 암술대는 유명한 향신료인 사프론의 원료이다. 크로커스속, 티그리디아속(Tigridia), 붓꽃속(Iris), 모라에아(Moraea) 등 많은 속에 속하는 종들이 원예식물들이다.

계통학적 위치

최근 밝혀진 DNA를 이용한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의한 꽃식물의 계통도에서 비짜루목은 매우 큰 식물군인 닭의장풀류(Commelinids)의 자매군인데, 붓꽃과는 이 비짜루목에 포함된다.3)4)5) 비짜루목 내에서 붓꽃과는 넓은 의미의 비짜루과(Asparagaceae s. l.), 수선화과(Amarylliaceae), 제로니마과(Xanthrrheoideae)가 이루는 분계조의 자매군을 형성한다.5)

DNA 자료를 통한 꽃식물 계통수 상의 붓꽃과의 위치. 계통수는 Soltis et al. (1999), Stevens (2001), Zeng et al. (2014)를 요약했다. (출처:김상태)

참고문헌

1. Judd WS, Campbell CS, Kellogg EA 등 (2016) Plant Systematics- A Phylogenetic Approach. Fourth ed. Sinauer Associates Inc.,
2. Goldblatt P (1990)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Iridaceae. Ann Missouri Bot Gard, 77: 607-627
3. Soltis PS, Soltis DE, Chase MW (1999) Angiosperm phylogeny inferred from multiple genes as a research tool for comparative biology. Nature, 402: 402-404
4. Zeng L, Zhang Q, Sun R 등 (2014) Resolution of deep angiosperm phylogeny using conserved nuclear genes and estimates of early divergence times. Nature communications, 5: 4956
5. Stevens PF (2017)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Version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