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신경계

말초신경계

[ Peripheral nervous system ]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를 제외한 신경계를 일컫는 용어이다. 말초신경계에는 중추신경계에 포함되는 뇌와 척수를 제외한 모든 신경 조직이 포함된다. 뇌신경(cranial nerve)과 척수신경(spinal nerve)은 모두 말초신경계의 일부이다. 즉, 말초에서 보이는 모든 신경(nerve)과 신경절(ganglion)이 말초신경계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라고 하겠다(그림 1).

그림 1. 말초신경계 ()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말초신경계에 해당한다. 노란색은 중추신경계를 나타낸다. (출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 기관을 연결하는 통로로서 기능하며, 크게 기능적으로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로 구분할 수 있다.

목차

체성신경계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는 우리가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voluntary control) 말초신경계의 부분을 말한다. 기능적으로 감각신경(sensory neuron)과 운동신경(motor neuron)을 포함하며, 뇌 또는 척수 중 어느 곳에서 나오는가에 따라 뇌신경(cranial nerve)과 척수신경(spinal nerve)으로 나누어 부른다.

뇌신경

머리와 목에서는 뇌신경(cranial nerve)이 체성감각(somatosensory) 정보를 전달하고, 운동 기능(motor function)을 담당한다. 12개의 뇌신경 중 1번과 2번 뇌신경은 각각 후각(후각신경, olfactory nerve)과 시각(시각신경, optic nerve)을 담당하고, 3번부터 12번까지의 뇌신경들은 뇌간(brainstem)에 그 신경핵이 위치하여 뇌간의 각 부위에서 기원하여 머리와 목의 구조물에 감각과 운동 기능을 제공한다. 뇌신경은 감각과 운동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기도 하고 감각 또는 운동 기능 중 한 가지만 가지고 있기도 하다. 한 가지 특이한 뇌신경은 10번 뇌신경인 미주신경(vagus nerve)인데, 미주신경은 머리와 목의 기능 조절과는 별 상관이 없고 오히려 흉강(thorax)과 복강(abdomen)의 내장 감각과 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척수신경

척수신경(spinal nerve)은 척수와 바로 연결된 신경으로 머리와 목을 제외한 몸의 전부에서 감각과 운동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인간은 모두 31쌍의 척수신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아래와 같다.

• 8쌍의 경부척수신경(cervical spinal nerve, C1~C8)

• 12쌍의 흉부척수신경(thoracic spinal nerve, T1~T12)

• 5쌍의 요부척수신경(lumbar spinal nerve, L1~L5)

• 5쌍의 천부척수신경(sacral spinal nerve, S1~S5)

• 1쌍의 미부척수신경(coccygeal spinal nerve, Co1)

척수신경은 척수에서 말초로 나온 후에 몇 개의 뿌리(root)가 모여 신경총(plexus)을 형성한 후 표적 장기를 지배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 몇 가지를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 신경총의 기능
신경총 포함된 척수신경 지배하는 근육의 위치
상완 신경총(brachial plexus) C5에서 T1까지 상지 근육, 삼각근
요추 신경총(lumbar plexus) L1에서 L4까지 복부 근육, 대퇴부 근육
천추 신경총(sacral plexus) L4에서 S5까지 엉덩이 근육, 다리 근육

자율신경계

•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의 의지와는 관계 없이(involuntary) '자율적'으로 조절되는 신경계이며, 우리 몸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신경계이다. 자율신경계는 그 흥분의 효과에 따라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와 부교감신경계(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로 구별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말초에 자율신경절(autonomic ganglion)을 가지고 있는데, 이 신경절을 기준으로 하여 교감과 부교감 신경을 각각 신경절이전(preganglionic)과 신경절이후(postganglionic)로 구별하기도 한다.

• 자율신경계의 신경절이전신경세포(preganglionic neuron)는 그 신경세포체(cell body, soma)가 중추신경계 내에 위치하고 있다. 교감신경의 경우에는 흉부와 상부 요부 척수에, 부교감신경의 경우에는 뇌간과 천부 척수에서 신경절이전신경세포의 세포체를 발견할 수 있다. 신경절이전신경세포는 교감과 부교감 모두 신경전달물질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을 이용한다.

• 자율신경계의 신경절이후신경세포(postganglionic neuron)는 자율신경절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교감신경절은 주로 척주(vertebral column)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부교감신경절은 주로 표적 장기와 가까운 곳 또는 표적 장기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 따라서, 교감신경은 신경절이전신경의 축삭이 신경절이후신경의 축삭에 비하여 짧고, 부교감신경의 경우에는 정반대이다.

관련 용어

뇌신경(cranial nerve), 척수신경(spinal nerve), 신경(nerve), 신경절(ganglion),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참고 문헌

  1. Fundamentals of Anatomy & Physiology by Martini & Nath (8th ed. 2009).
  2. 생리학 7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