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신경

뇌신경

[ cranial nerves ]

그림 1. 12개의 뇌신경 (출처: 위키피디아,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5108118 의 변형)

뇌신경(cranial nerves)은 뇌(brain)와 뇌간(brainstem)에서 직접 나오는 신경을 일컫는 말이다. 이에 비해 척수(spinal cord)에서 나오는 신경은 척수신경(spinal nerve)이라고 부른다. 모두 12개의 뇌신경이 있는데 이 중 10개가 뇌간에서 나오며, 나머지 2개(후각신경, 시각신경)는 전뇌(forebrain)에서 나온다(그림 1). 후각신경과 시각시경은 중추신경계의 일부로 볼 수도 있지만 나머지 10개의 뇌신경은 모두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에 속한다.

목차

해부학

12개의 뇌신경

인간의 뇌신경은 모두 12개이며 이들은 순서대로 다음과 같이 명명하며, 번호로 부를 때에는 CN(Cranial Nerve) 뒤에 로마숫자를 붙여 사용한다.

  1. 후각신경(olfactory nerve, CN I)
  2. 시각신경(optic nerve, CN II)
  3. 눈돌림신경(oculomotor nerve, CN III)
  4. 도르래신경(trochlear nerve, CN IV)
  5.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CN V)
  6. 갓돌림신경(abducens nerve, CN VI)
  7. 얼굴신경(facial nerve, CN VII)
  8. 속귀신경(vestibulocochlear nerve, CN VIII)
  9. 혀인두신경(glossopharyngeal nerve, CN IX)
  10. 미주신경(vagus nerve, CN X)
  11. 더부신경(accessory nerve, CN XI)
  12. 혀밑신경(hypoglossal nerve, CN XII)

이 중 삼차신경은 다시 세 개의 신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 눈신경(ophthalmic nerve, CN V1), 위턱신경(maxillary nerve, CN V2), 아래턱신경(mandibular nerve, CN V3)이라고 부른다.

두개골을 빠져 나오는 경로

뇌와 뇌간에서 기원한 다음 두개골(skull) 안에서 짧게 주행한 다음에는 두개골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각각 정해진 구멍을 따라서 나오며, 그 구멍을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 두개골 틈새와 통과하는 뇌신경
위치 뇌신경
벌집뼈(ethmoid bone)의 체판(cribriform plate) 후각신경(CN I)
시각신경관(optic canal) 시각신경(CN II)
위눈확틈새(superior orbital fissure) 눈돌림신경(CN III) 도르래신경(CN IV)
갓돌림신경(CN VI)
눈신경(CN V1)
원형구멍(foramen rotundum) 위턱신경(CN V2)
타원구멍(foramen ovale) 아래턱신경(CN V3)
내이도(internal acoustic meatus) 얼굴신경(CN VII) 속귀신경(CN VIII)
목정맥구멍(jugular foramen) 혀인두신경(CN IX) 미주신경(CN X)
더부신경(CN XI)
혀밑신경관(hypoglossal canal) 혀밑신경(CN XII)

기능

냄새(CN I)

냄새(smell)는 후각신경(CN I)이 담당한다. 후각신경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으면 후각상실증(anosmia) 또는 이상후각증(parosmia)을 유발한다.

시각(CN II)

시각(vision)은 시각신경(CN II)의 역할이다. 망막에 맺힌 상은 시각신경을 경유하여 시각피질로 전달된다. 시각 기능은 시야(visual field)를 검사하든가 검안경(ophthalmoscope)을 이용하여 망막의 이상 유무를 검사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눈의 운동(CN III, CN IV, CN VI)

눈(eyel)의 상하좌우 움직임은 눈돌림신경(oculomotor nerve, CN III), 도르래신경(trochlear nerve, CN IV), 갓돌림신경(abducens nerve, CN VI)이 협동하여 담당한다. 특히 눈돌림신경은 눈이 코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갓돌림신경은 눈이 귀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담당하여, 해당 뇌신경에 손상이 있으면 눈이 코쪽 또는 가쪽으로 돌아갈 수 없다. 또한 오른쪽 눈의 코쪽(또는 귀쪽) 움직임은 왼쪽 눈의 귀쪽(또는 코쪽) 움직임과 동시에 일어나야 하며 이는 뇌간 안에서 눈돌림신경핵과 갓돌림신경핵이 정보를 교환하여 서로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삼차신경(CN V)

삼차신경은 얼굴의 감각과 음식을 씹는 기능(저작기능, mastication) 등을 담당한다. 특히, 삼차신경은 눈신경, 위턱신경, 아래턱신경으로 구분되어 각각 얼굴의 윗쪽, 중간, 아래쪽 감각을 담당하고 있다.

얼굴 표정(CN VII)

표정을 짓는 얼굴 근육을 지배하는 뇌신경은 얼굴신경이다. 얼굴신경이 손상되면 일시적으로 손상된 쪽의 얼굴 표정을 지을 수 없는데, 이를 벨 마비(Bell's palsy)라고 부른다.

청각과 평형감각(CN VIII)

속귀신경은 전정신경(vesibular nerve)과 달팽이신경(cochlear nerve)으로 나뉘어 각각 평형감각과 청각을 담당한다. 전정신경에 문제가 생기면 눈알이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안구진탕(nystagmus)을 경험할 수 있는데, 이는 평소에 전정신경의 영향을 받고 있는 눈돌림신경, 갓돌림신경 등이 전정신경의 손상으로 정보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달팽이신경에 문제가 생기면 손상된 쪽에 청력 손실이 온다.

맛, 구강감각과 침의 분비(CN IX)

혀인두신경은 구강의 일반감각, 맛, 침의 분비 등을 담당하며, 인두의 근육들도 지배한다.

미주신경(CN X)

미주신경은 우리 몸을 지배하는 부교감신경의 신경절이전섬유이며 뇌간에서 나온 후 표적 장기까지 시냅스를 이루지 않고 바로 가기 때문에 무척 긴 신경이다. 호흡, 혈압, 소화기능, 분비기능 등을 조절하는 데 무척 중요한 뇌신경이다.

어깨와 목 근육 운동(CN XI)

더부신경은 어깨를 올리거나 목을 양쪽으로 돌리는 데 필요한 골격근인 승모근(trapezius muscle)과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muscle)을 지배한다.

혀의 운동(CN XII)

혀밑신경은 혀를 움직이는 기능을 맡고 있다.

관련 용어

미주신경(vagus nerve)

참고 문헌

  1. Fundamentals of Anatomy & Physiology by Martini & Nath, (8th ed.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