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 비브리오균

패혈증 비브리오균

[ Vibrio vulnificus ]

패혈증 비브리오균; 비브리오 패혈균; 비브리오 불니피쿠스(국문)Vibrio vulnificus(영문)

패혈증 비브리오균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균으로, 이 균을 가지고 있는 어패류를 날 것으로 혹은 덜 익혀서 먹거나 바닷물, 갯벌 및 어패류에 있는 균이 피부 상처에 접촉 시 감염될 수 있다. 사람에게 감염될 경우 패혈증, 창상감염 및 위장염을 일으키고, 패혈증의 경우 사망률이 50% 이상으로 매우 치명적인 감염 질환이다.

Vibrio vulnificus (출처: )

목차

기원 및 명명

패혈증 비브리오균은1976년 Hollis에 의해 처음 혈액 배양샘플에서 분리되어, 다른 비브리오 종과 구별하여 '락토스 양성 비브리오(lactose positive vibrio)'라고 명명하였으며1), 1979년 J.J. Famer는 이 균과 비브리오 속과의 유전적인 관계, 표현형의 유사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라고 명명하였다2). 또한, 같은 해 Blake 등은 패혈증 비브리오균 감염을 역학적 특성과 임상증상에 따라 창상 감염(wound infection)과 일차성 패혈증(primary sepsis)으로 분류하였다3). 국내에서 패혈증 의심 환자에서의 패혈증 비브리오균 분리는 1982년에 처음 보고되었다4).

분류군

세균 도메인> Phylum Proteobactera (프로테오박테리아 문) > Class Gammaproteobacteria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강) > Order Vibrionales (비브리오 목) > Family Vibrionaceae (비브리오 과) > Genus Vibrio (비브리오 속) > Species Vibrio (비브리오 종)

Vibrio vulnificus (출처: )

특징

  • 그람 음성균으로 호염성(halophilic)이며, 0.5~0.8 X 1.4~2.6 μm 크기의 구균이나 콤마 모양, 짧은 막대모양, C자형 등의 여러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극 쪽에 하나의 긴 편모를 갖고 있어 균체를 빠르게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며, 아포는 형성하지 않는다.
  • O항원에 따라 처음에는 7종류의 혈청형으로 구분하였고, 그 후 8가지를 추가하여 현재 15종류(O1~O3, O4A, O4B, O5~O14)의 혈청형으로 구분한다. 우리나라에서 환자나 어패류에서 분리된 균은 주로 O4형과 O1형이다5).
  • 생물형은 생리학, 생화학, 혈청학적 특성과 숙주범위에 따라 세 가지 생물형(biotype)으로 나뉘는데, 생물형1은 인간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인돌(indole)과 오르니틴 탈카르복실화효소(ornithine decarboxylase)를 생산하고, 다양한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를 나타낸다. 반면, 생물형2는 인돌(indole)과 오르니틴 탈카르복실화효소(ornithine decarboxylase)를 생산하지 않고, 공통된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를 나타내어 혈청형E로 표시하고, 극동지방과 서유럽의 뱀장어에서 패혈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사람에게는 드물게 창상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7). 생물형3은 생물형1과 2의 하이브리드(hybrid)로, 인간의 창상 감염을 주로 일으킨다8).
  •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병독인자로는 피막 지질다당류(capsular lipopolysaccharide)로 가장 중요한 병독인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리신 디카르복실라아제(lysine decarboxylase)와 망간 초화 효소(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를 생산하여 위와 같은 높은 산성 환경에서 살아남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9)10).
  • 패혈증 비브리오균은 해양 생태계에 존재하는 정상적인 미생물로서 열대와 아열대 기후에서 잘 증식하며, 전 세계적으로 수온이 섭씨 9℃에서 31℃ 사이의 해안가 또는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하구에서 주로 발견되고, 수온 18℃ 이상인 시기에 증식하며11), 염도 또한 패혈증 비브리오균의 생존과 관련이 있어, 특히 낮은 염도(0.5~2.0% NaCl)의 해수에서 잘 자라는 특성이 있다.
  • 패혈증 비브리오균 감염은 세계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미국, 일본, 대만, 이스라엘, 스페인, 터키, 태국, 독일, 네덜란드, 스웨덴 등 해안 인접국가들에서 보고되고 있다. 

증상

패혈증 비브리오균은 혈류에 세균이 존재하는 균혈증(bacteremia)과 독이 혈류를 따라 순환하는 독혈증(toxemia)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비브리오 패혈증의 질환을 초래한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주로 비브리오균이 있는 해산물을 섭취 함으로써 감염된다. 패혈증 비브리오균 관련 감염은 대개 위장염(gastroenteritis), 창상 감염(wound infection), 그리고 일차성 패혈증(primary sepsis)의 세 가지 임상 증후군으로 나타난다[7]. 일단 감염되면, 발열과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있으며, 발열 후 36시간 정도가 지나면 피부 병변이 발생한다. 피부 병변은 하지 통증과 동반하여 대퇴부 및 둔부에 홍반, 구진으로 시작하는데, 병변의 모양은 발진, 부종으로 시작하여 수포, 또는 출혈성 수포를 형성한 후 점차 범위를 확대하면서 괴사성 병변으로 진행한다12).

치료

치료방법은 페니실린(penicillin), 암피실린(ampicillin), 세팔로틴(cephaloth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등의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한다[13]. 괴사성 병변이 일어날 경우, 수술적인 처치로 괴사 조직을 제거하여 혈류로 세균이 유입되는 것을 막거나 농을 제거하기도 한다.

예방

패혈증 비브리오균은 해수온도가 18~20℃로 상승하는 여름철에 해안지역에 서식하며 어패류를 익히지 않고 날 것으로 먹었을 때 주로 감염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해산물, 특히 조개류를 날 것으로 먹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말아야 한다. 여름철 어패류는 가급적으로 5℃ 이하로 저온 저장하고 수돗물에 잘 씻은 후 85℃ 이상으로 가열 처리하여 섭취한다. 또한 패혈증 비브리오균은 염소에 매우 약하여 수돗물에 3초 정도 씻으면 사멸하기 때문에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 칼 등은 소독 후 사용한다. 특히 만성간염이나, 간암, 간경화 등의 만성 간 질환환자나, 알코올중독, 혹은 악성종양환자나 에이즈 등 면역저하인 사람은 비브리오 패혈증에 감염될 수 있는 고위험군에 속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관련용어

비브리오균, 패혈증, 그람 음성균, 호염성(halophilic), 혈청형, 생물형,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생태계, 미생물, 세균, 균혈증(bacteremia), 독혈증(toxemia), 페니실린(penicill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집필

윤철희/서울대학교

감수

김재욱/국제백신연구소

참고문헌

1. Hollis, D.G., Weaver, R.E., Baker, C.N., and Thornsberry, C. 1976. Halophilic Vibrio species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J. Clin. Microbiol. 3, 425–431.
2. Farmer, J.J. 1979. Vibrio ('Beneckea') vulnificus, the bacterium associated with sepsis, septicæmia, and the sea. The Lancet 27, 903.
3. Blake, P.A., Merson, M.H., Weaver, R.E., Hollis, D.G., and Heublein, P.C. 1979. Disease caused by a marine Vibrio: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pidemiology. N Engl. J. Med. 300, 1–5.
4. Goo, J.S., Kim, D.W., Han, K.S., Suk, J.S., Park, M.H., and Kim, S.I. 1982. Lactose fermenting Vibrio (Vibrio vulnificus) septicemia -Report of five cases-. Korean J. Pathol. 16, 463–468.
5. 김신무, 소향아, 송계민, 이영엽, 임채원, 이재형, 소홍섭, 김진경, 박래길, 박석돈. 2006. Sucrose 발효 및 비발효 Vibrio vulnificus 균주의 생물학적 및 유전학적 성상 비교. J Bacteriol Virol. 36. 221–228 
6. Tison, D.L. and Kelly, M.T. 1986. Virulence of Vibrio vulnificus strains from marine environments. Appl. Environ. Microbiol. 51, 1004-1006.
7. Horseman, M.A. and Surani, S. 2011. A comprehensive review of Vibrio vulnificus: an important cause of severe sepsis and skin and soft-tissue infection. Int. J. Infect. Dis. 15, 157–166.
8. Zaidenstein, R., Sadik, C., Lerner, L., et al. 2008.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subtyping of Vibrio vulnificus illnesses. Israel. Emerg Infect Dis. 14, 1875–1882.
9. Jones, M.K. and Oliver, J.D. 2009. Vibrio vulnificus: disease and pathogenesis. Infect. Immun. 77, 1723–1733.
10. Gulig, P.A., Bourdage, K.L., and Starks, A.M. 2005. Molecular pathogenesis of Vibrio vulnificus. J. Microbiol. 43, 118–131.
11. Liu, J.W., Lee, I.K., Tang, H.J., et al. 2006. Prognostic factors and antibiotics in Vibrio vulnificus septicemia. Arch. Int. Med. 166, 2117–2123.
12. Tison, D.L. and Kelly, M.T. 1984. Vibrio vulnificus endometritis. J. Clin. Microbiol. 20, 185-6.

동의어

Vibrio vulnificus, 패혈증 비브리오균, 비브리오 불니피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