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

기생

[ parasitism ]

공생의 한 종류로서 한 생물체는 손해를 보고 다른 생물체는 이득을 보는 두 생물체간의 관계를 의미한다. 대부분 기생생물(parasite)이 숙주(host)에 붙어살며 영양분 공급, 포식자로부터의 회피 등의 이득을 보며 그 생활주기에 적응하며 살아간다. 기생생물은 포식자들과 달리 대부분 숙주보다 크기가 작고, 숙주보다 더 빠른 속도로 번식하며, 숙주를 죽이지는 않는다. 기생생물은 전파방식과 숙주에게 끼치는 영향에 따라 parasitic castration, directly transmitted, trophically transmitted, vector-transmitted, parasitoids, micropredator로 분류될 수 있다. 대표적인 기생의 예로는 동물인 이, 벼룩, 모기, 기생충 등 소형 동물 혹은 원생동물 뿐 아니라 식물, 세균, 진균, 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넓은 분류학적 범위를 가진다. 다만, 기생생물을 연구하는 parasitology는 주로 기생원충이나 기생동물을 대상으로 한정되는 경향이 있다.

목차

역사

요충, 기니 벌레, 촌충, 회충 등 인간을 숙주로 하는 기생충은 기원전 3000년, 이집트 파피루스에 기록되어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도 낭충 등과 같은 기생충들이 히포크라테스 대전집에 기록되어 나타난다1). 근대에는 1681년 Anthoni van Leeuwenhoek가 자신의 현미경을 통해 기생하는 원생동물(원충)인 람블편모충(Giardia lamblia)을 관찰하였고, Francesco Redi는 간충과 진드기를 포함하는 내부와 외부의 기생충을 묘사하였다1).

주요전략

기생은 공생(symbiosis)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지만 commensalism, mutualism과는 다르게 숙주에 해를 입힌다. 대부분의 기생동물은 숙주에게 병원체를 옮기는 벡터로 작용한다. 기생동물은 다양한 생활주기를 가진다. 생활주기 모두를 숙주에 의존하는 기생동물을 절대기생물이라 하고, 그렇지 않은 기생동물을 조건기생물이라 한다. 기생동물들은 여러 숙주에 기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매우 높은 숙주특이성을 가진다. 

기생동물은 전파방식, 숙주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주로 6가지로 나뉠 수 있다.  

  • Parastic castration: 숙주의 생식능력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파괴하며 생식계 외의 다른 부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2). 대표적인 예로 bernacle 속의 Sacculina는 수컷게를 숙주로 하여 2/3 가량의 수컷게의 고환을 퇴화시켜 넓은 복부, 작은 집게발 등의 암컷게의 성질을 띄게 만든다3).

그림 1. Sacullina가 기생하는 수컷게 (출처: )

  • Directly transmitted: 숙주로 도달하기까지 벡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직접 전파된다. 대표적인 예로 육상의 척추동물을 숙주로 하는 이와 진드기가 있다.

그림 2. 사람의 두피에 기생하는 이 (출처:)

  • Trophically transmitted: 숙주가 먹음으로써 기생이 시작된다. 흡충, 촌충, 회충 등이 포함되며 Toxoplasma도 대표적인 예이다2). 대부분 복잡한 생활주기를 가지며 두 개의 종 이상을 숙주로 한다. 유령기에는 중간숙주에 기생하여 중간숙주의 행동을 변화시킴으로써 포식을 유도하고, 중간숙주가 포식자에게 먹히면 포식자의 소화계에 살아남아 장내기생충으로 살아간다. 
  • Vector-transmitted: 유성생식하지 않고 중간숙주에 의존해 전파된다4). 원충, 세균,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이 이에 속하며 대표적인 예로 아프리카 수면병을 일으키는 Trypanosoma와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Plasmodium이 있다2).

그림 3. 혈액에서 관찰된 Trypanosoma cruzi  (출처: SPL C005 0967)

  • Parasitoids: 포식과 가까운 관계로 숙주를 죽이는 곤충으로 막시류, 말벌 등이 이에 속한다5). 숙주를 바로 죽여 그 위에 알을 낳아 죽은 숙주의 영양분으로 자라는 idiobiont와 살아있는 숙주 안에 알을 낳아 같이 자라며 결국 숙주를 죽이고 나오는 koinobiont로 분류된다6)
  • Micropredator: 하나 이상의 숙주를 공격해 숙주의 적응성을 떨어뜨린다. 대부분 혈액을 포식하며 모기가 이에 속한다.

그림 4. 사람의 혈액을 포식하는 모기 (출처: SPL C009 3043)

관련용어

공생, 숙주, 세균, 진균, 바이러스, 현미경, 벡터

집필

조유희/차의과학대학교

감수

김재욱/국제백신연구소

참고문헌

1. Cox, F.E. 2004. History of human parasitic diseases. Infect. Dis. Clin. N. Am. 18, 173–174. doi: 10.1016/j.idc.2004.01.001. PMID 15145374 .
2. Poulin, R.,Evolution of parasitism along convergent lines: from ecology to genomics. Parasitology 142, S6-S15. doi: 10.1017/S0031182013001674. PMC 4413784  . PMID 24229807 .
3. Elumalai, V., Viswanathan, C., Pravinkumar, M., and Raffi, S.M. 2013. Infestation of parasitic barnacle Sacculina spp. in commercial marine crabs. J. Parasit. Dis. 38, 337–339. doi: 10.1007/s12639-013-0247-z
4. 'Overview of Parasitology'. Australian Society of Parasitology and Australian Research Council/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Research Network for Parasitology. July 2010. ISBN 978-1-8649999-1-4 . Retrieved 9 April 2018.
5. Stevens, A.N.P. 2010. Predation, Herbivory, and Parasitism. Nature Education Knowledge. 3, 36. Retrieved 12 February 2018. Predation, herbivory, and parasitism exist along a continuum of severity in terms of the extent to which they negatively affect an organism's fitness. ... In most situations, parasites do not kill their hosts. An exception, however, occurs with parasitoids, which blur the line between parasitism and predation.
6. Gullan, P.J. and Cranston, P.S. 2010. The Insects: An Outline of Entomology (4th ed.). Wiley. pp. 308, 365–367, 375, 440–441. ISBN 978-1-118-84615-5 .

동의어

기생(parasitism), 기생, parasitism, Parasitism, 기생(Parasit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