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체로

추체로

[ Pyramidal tracts ]

추체로(pyramidal tracts)는 대뇌피질(cerebral cortex)에서 척수(spinal cord)로 가는 신경다발인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와 대뇌피질에서 뇌간(brainstem)으로 가는 신경다발인 피질연수로(corticobulbar tract)를 함께 일컫는 용어이다. 이들 신경다발은 상부운동뉴런(upper motor neuron)인 대뇌피질의 신경세포에서 시작되어 각각 척수와 뇌간에서 끝나며, 우리 몸의 운동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목차

구조

추체로는 신경축삭의 다발이고 이는 대뇌피질에 위치하고 있는 피라미드세포(pyramidal neuron)로부터 기원하며, 척수까지 이어지는 것이 피질척수로, 뇌간에서 끝나는 것이 피질연수로이다.

피질척수로

그림 1. 피질척수로 ()

피질척수로를 구성하는 신경다발은 대뇌피질의 다섯 번째 층(layer 5)에 위치한 피라미드세포에서 기원한다. 피질척수로는 약 3분의 2 정도가 일차운동피질(primary motor cortex), 보조운동영역(supplementary motor area), 전운동피질(premotor cortex) 등에서 기원하고 나머지는 체성감각피질(somatosensory cortex)을 포함하는 두정엽(parietal lobe)에서 출발한다(그림 1).

피질척수로는 내낭(internal capsule)의 후각(posterior limb)을 경유하여 대뇌다리(cerebral peduncle)를 지나는데 이 때 하지(lower limb)를 지배하는 섬유가 외측, 상지(upper limb)를 지배하는 섬유가 내측에 위치한다. 이 후 교뇌(pons)의 앞부분을 거쳐 연수(medulla oblongata)의 추체(pyramid)를 지나는데, 이곳에서 대부분은 반대편으로 교차하여(추체교차, pyramidal decussation) 내려온다. 교차하여 내려오는 피질척수로를 가쪽피질척수로(lateral corticospinal tract)라 하고 주로 팔다리의 근육을 지배하며 교차하지 않고 내려오는 피질척수로를 앞쪽피질척수로(anterior corticospinal tract)라 하고 주로 몸통근육을 지배한다.

피질연수로

피질연수로는 뇌신경(cranial nerve)이 지배하는 근육의 운동을 조절한다. 'bulbar'라는 말이 연수를 의미하고 뇌신경핵은 연수 뿐 아니라 중뇌와 교뇌에도 있으므로 사실은 피질핵로(corticonuclear tract)라는 말이 더 정확하며 국제적으로도 합의가 된 상태이지만, 피질연수로로라는 용어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같은 의미의 용어로 이해하면 되겠다.

피질연수로의 세포체는 일차운동피질의 얼굴과 머리 부분에 존재하나 안구운동을 담당하는 CN III, CN IV, CN VI를 지배하는 피질연수로의 세포체는 전두안영역(frontal eye field) 및 두정안운동영역(parietal motor eye field)에 존재한다. 피질연수로는 내낭을 지날 때 피질척수로의 바로 앞부분에 위치하며, 대뇌다리에서는 피질척수로의 내측에 위치한다.

기능

피질척수로는 뇌에 있는 일차운동영역이 우리 몸의 근육을 움직이는 기제이며, 연수에서 일어나는 추체교자 때문에 반대편에 위치한 근육을 움직이게 된다.

피질연수로는 일차운동영역(그리고 안운동영역)이 머리와 목에 있는 근육을 움직이는 기제이고 삼키기, 발성, 혀의 움직임 등을 담당한다. 피질연수로는 얼굴신경(CN VII)을 통하여 얼굴의 표정을 짓는 데에도 관여한다. 피질연수로의 섬유가 교뇌에서 절반으로 나뉘어 반은 동측으로 반은 반대측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얼굴의 상부는 양쪽 섬유의 지배를 받으나 얼굴의 하부는 한쪽 섬유의 지배만 받는다.

임상 적용

피질척수로 섬유의 손상이 대뇌피질과 척수 사이에서 일어나는 경우 이를 상부운동뉴런증후군(upper motor neuron syndrome)이라고 부르며, 강직(spasticity), 과도한 반사(hyperactive reflex), 미세운동장애(inability to perform fine movements), 바빈스키 사인(Babinski sign) 등의 증상으로 의심할 수 있다. 뇌졸중(stroke), 경막하출혈(subdural hemorrhage), 농양(abscess), 종양(tumor) 등이 가능한 원인이다.

피질연수로의 손상은 발생하는 쪽 얼굴의 하부에 국한해서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얼굴의 하부가 피질연수로의 한쪽에서만 신경섬유의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관련 용어

피질핵로(corticonuclear tract)

참고 문헌

  1. 생리학 7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