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 Epstein-Barr virus, EBV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EBV)는 1964년 Epstein과 Barr가 B 세포 종양인 아프리카형 버킷림프종의 생체표본에서 허피스바이러스 입자모양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중에 발견되었다. EBV는 이종친화항체–양성 전염성 단핵구증을 유발하고, 아프리카형 버킷림프종, 호지킨병, 비인강암, 위암과 같은 특별한 형태의 암의 유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EBV는 후천성 또는 선천성 면역결핍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모상 백반증, 뇌림프종, B 세포 림프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EBV는 면역계의 B 세포와 표피세포를 감염한다. EBV의 초기 바이러스 용해 감염이 통제하에 들어가면, EBV 잠복 감염이 감염된 사람의 B 세포에서 평생 동안 지속 된다.

목차

분류

EBV는 Herpesviridae 과 gammaherpesvirinae 아과에 속하며 human herpesvirus 4 (HHV-4) 라고도 불린다.

구조 및 유전체

대략 지름이 122~180 nm인 크기로, 유전체는 85개의 유전자를 가진 약 172,000 bp의 이중가닥 DNA로 구성되어 있다. 이 DNA는 캡시드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뉴클레오캡시드는 무정형의 피막(tegument)으로 둘려싸여 있고, 이 피막은 지질과 당단백질의 표면돌기로 구성된 외피막으로 둘러 싸여 있다. EBV는 70개 이상의 단백질을 발현하며, EBV 단백질은 B 세포 성장을 유도하고 B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복제 (또는 생활사)

EBV의 생활 주기는 잠복기와 용해기로 나뉜다. 잠복기에는 바이러스가 생산되지 않지만 세포의 핵 속에서 숙주의 DNA 합성효소를 이용하여 원형의 게놈 DNA가 복제된다. 잠복기에는 EBV 유전자의 일부만 발현된다. 용해기에는 바이러스의 DNA 합성과 복제가 일어난다. EBV의 용해기 복제는 B 세포와 상피세포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B 세포에서는 잠복감염으로부터의 재활성화가 일어나야 발생하지만 상피세포에서는 종종 세포 내 진입과 동시에 발생하기도 한다.

역학 및 감염경로

대개 EBV는 침을 통해 사람에게 전염되며, 90% 이상의 EBV 보균자는 임상적인 증상이 전혀 없더라도 EBV를 전파시킬 수 있다. EBV는 전 세계 지역에 분포하고 1차 감염은 출생후 초기에 발생하여 어린이의 경우 90% 이상이 6세 이전에 이루어진다. EBV가 구 인두의 분비물에 있으므로 입에서 입으로 전파되는 감염성 입맞춤병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물병이나 컵을 공유해도 감염된다.

전염성 단핵구증, 만성 질환, 림프증식성 질환, 그리고 백반성 등이 EBV 관련 대표적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환자에게서 B 세포의 증식은 많은 수의 B 세포를 만들어 내는데, 이 세포들은 단핵구성이어서 질병에 단핵구증가증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전형적인 단핵구증의 세 가지 증상은 고열, 권태감, 간비장비대를 동반한 림프절 증대, 비장 비대, 삼출성 인두염이다. EBV 감염 후 T 세포성 면역이 결핍되어 있는 환자에게는 전염성 단핵구증 대신 치명적인 다클론 백혈병-유사 B 세포 증식 질환 또는 림프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엡스테인-바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는 감염성 단핵구증. (출처: GettyimagesKorea)

버킷림프종은 분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단클론 B 세포성 림프종으로, 말라리아가 빈번한 아프리카 지역에 사는 소아들에게 주로 발생한다. 대부분의 버킷 림프종은 3 가지 염색체 전좌 중의 하나에 의해서 8q24에서 발견되는 c-myc 유전자의 조절 장애가 특징이다. 가장 일반적인 변종은 t(8;14)(q24;q32)인데, 이 변종은 c-myc과 immunoglobulin heavy locus를 포함하고 전체 버킷 림프종의 85%에서 발견된다. 다음으로 다소 덜 빈번한 두 가지의 염색체 전좌는 t(2;8)(p12;q24)와 t(8;22)(q24;q11)인데, 이 두 가지의 변종은 immunoglobulin kappa locus와 c-myc, Immunoglobulin lambda locus과 c-myc을 각각 포함하고, 전체 버킷 림프종의 15%에서 발견된다. EBV는 호지킨 림프종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버킷 림프종 환자 (출처: )

진단, 예방 및 치료

다른 허피스바이러스와 달리 EBV에 유효한 치료법이나 백신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EBV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보균자가 무증상인 상태에서도 바이러스를 전파시키므로 바이러스의 전파를 차단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예를 들어 감염성 단핵구증에 대한 치료는 진통제와 염증을 감소시키는 약물치료로 하고 있고, 예방으로는 감염된 사람의 침을 피하는 것이다. 또한 EBV 감염으로 영구면역이 이루어지므로, 감염성 질병이 경미한 유년 시절에 EBV에 감염되는 것이 감염성 단핵구증을 예방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다.

집필

이찬희/충북대학교, 송윤재/가천대학교

감수

이충호/동국대학교

참고문헌

  1. A. Wolfgang and P. J. Farrell. 2004. 'Reactivation of Epstein–Barr virus from latency'. Reviews in Medical Virology. 15 (3): 149–56. PMID 15546128 . doi: 10.1002/rmv.456.
  2. R. M. Longnecker, E. Kieff and J. I. Cohen, "Epstein-Barr Vrus", in Fields Virology, D.M. Knipe, P.M. Howley et al., Eds., pp.1898-1959,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PA, USA, 6th edition, 2013.

동의어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Epstein-Barr virus, 엡스타인-바 바이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