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막

외막

[ outer membrane ]

그람음성균(Gram-negative bacteria)은 그람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과는 다르게 두 번째의 인지질 이중층인 외막(outer membrane)을 갖고 있다1). 외막은 방어막으로서 역할을 하는 동시에 세균이 필요로 하는 용질이나 단백질의 운반, 신호전달 등의 역할에도 관여한다. 이 때 외막에 고정되어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외막단백질(outer membrane protein)이라고 한다2).

목차

구성 성분

그람음성균의 외막은 기본적으로 인지질 이중층(phospholipid bilayer)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와 리포단백질(lipoprotein)이 각각 외막의 바깥쪽과 안쪽 부분에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이 때 리포단백질은 외막이 펩티도글리칸에 고정이 되도록 도와준다. 지질다당류(LPS)는 사람이나 동물에서 치명적인 독성을 나타내는 내독소(endotoxin)로 작용한다. 이 외에 포린(porin)이라는 단백질이 존재하여 작은 용질의 출입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3) 외막의 구성 성분과 그람음성균의 세포막의 구조는 아래 그림 1처럼 나타낼 수 있다.

그림 1. 외막의 구성 성분. (출처: 하남출/서울대)

지질다당류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lipidA, 중심올리고당체(core oligosaccharide), O-다당체(O polysaccharide)로 나뉘며, A, B 두 개의 서로 다른 다당체로 이루어진 O-다당체는 그람음성세균의 O-항원성을 결정하는 부위이며, lipid A는 앞서 언급한 내독소로 작용하는 부위로 T 세포와 무관하게 B 세포를 자극하여 독성 반응을 일으킨다. 고열과 호흡기 계통의 장애, 저혈압 등을 유발하여 내독소 쇼크를 유발하며 생명에 매우 치명적이다. 이렇게 위험한 내독소는 투구게를 이용한 엔도톡신 시험법(LAL test)으로 검출할 수 있다.

LPS의 lipid A 부분은 인간의 면역체계에서 주요한 수용체인 TLR4(Toll-like receptor 4)와 MD-2 복합체에 의해 인지되어 강한 염증반응을 유도한다. 너무 심한 염증반응은 오히려 인간에게 치명적이니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TLR4와 MD-2, LPS 복합체의 구조는 아래 그림 2와 같다. 아래 그림에서 TLR4는 자주색(magenta), MD-2는 연두색(light green), LPS는 빨간색(red)로 각각 표시되었다.

그림 2. 인간의 TLR4와 MD-2 결합체에 LPS가 결합한 구조 (출처: Frontiers in Physiology, https://doi.org/10.3389/fphys.2011.00041)

외막의 생합성

외막의 성분들은 세포질(cytoplasm) 혹은 내막(inner membrane)에서 합성되어 내막과 페리플라즘(periplasm) 을 통과하여 외막으로 수송되어 조립된다.

  1. 외막의 포린(porin) 단백질: 대부분 단백질의 N-말단에 분비신호서열을 가지고 있어서 Sec 시스템으로 내막을 통과하고, 이어서 Skp단백질과 결합한 상태로 외막으로 이동하여 외막에 결합한다.
  2. 외막의 리포단백질(lipoprotein): N말단에 분비신호서열과 더불어 lipid 결합 서열을 가지고 있다. Sec 시스템으로 내막을 통과한후, lipid 가 결합하며, ABC 수송체(ABC type transporter)인 LolCDF를 통해서 LolA와 결합되어 외막으로 이동한다.
  3. LPS는 외막의 바깥쪽 면에만 존재한다. 먼저 Lipid A가 합성이 되고 여기에 O-antigen이 반복적으로 결합하여 합성된다. 내막에서 여러 단계를 거쳐 합성되어, 외막으로 이동한다. 아직 정확한 이동경로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내막과 외막의 직접적인 연결에 의한 모델과 LptA(Lipopolysaccharide export system protein)라는 단백질과 결합하여 페리플라즘(세포주변질)을 통과하여 외막으로 이동하는 모델이 제시되었다.

집필

하남출/서울대학교

감수

조유희/차의과학대학교

참고문헌

1. Michael Madigan, John Martinko, David Stahl, David Clark, Brock의 미생물학, 오계헌 역, 13th Edition (서울: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11), 88-91.
2. Koebnik R, Locher KP, Van Gelder P., Structure and function of bacterial outer membrane proteins: barrels in a nutshell., Mol Microbiol. 2000 Jul;37(2):239-53.
3. H Nikaido and M Vaara, Molecular basis of bacterial outer membrane permeability. Microbiol Rev. 1985 Mar; 49(1): 1–32.

동의어

outer membrane, Outer membrane, 외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