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포니오스

트로포니오스

왕자

[ Trophonius, Trophonios ]

요약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오르코메노스 왕 에르기노스의 아들이다. 동생 아가메데스와 함께 뛰어난 건축가로 유명하다. 두 형제는 자신들이 지은 보이오티아 왕 히리에우스의 보물창고에서 도둑질을 하다 왕이 쳐놓은 덫에 걸려 아가메데스는 비참한 죽음을 당하고 트로포니오스는 레바데이아로 도망쳐 땅속으로 난 굴로 영원히 사라져 버렸다. 훗날 그곳에는 트로포니오스의 신탁소가 생겨났다.
트로포니오스

트로포니오스

외국어 표기 Τροφώνιος(그리스어)
구분 왕자
어원 키우다
관련 사건, 인물 트로포니오스의 신탁소

트로포니오스 인물관계도

※ 관계도 내 인명 클릭시 해당 표제어로 연결됩니다.

트로포니오스 인물관계도
클리메노스에르기노스

트로포니오스와 아가메데스 형제는 오르코메노스의 왕 에르기노스가 노년에 젊은 여인에게서 얻은 아들 형제라고 한다. 하지만 트로포니오스는 아폴론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신화 이야기

건축의 명인

트로포니오스와 아가메데스 형제는 두 사람 다 뛰어난 건축가로 테바이에 있는 암피트리온알크메네의 신혼집과 아르카디아의 포세이돈 신전,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 등을 함께 지은 것으로 유명하다.

두 형제는 또 보이오티아의 왕 히리에우스의 보물창고도 지었는데, 이때 건물 벽에 붙였다 뗐다 할 수 있는 석판을 장치하여 남들이 입구를 알 수 없게 하였다. 그런 뒤 두 사람은 그들만 아는 비밀통로를 이용해서 왕의 보물창고를 도둑질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히리에우스 왕은 누가 어떻게 도둑질을 하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다.

그래서 왕은 보물창고 안에 은밀한 덫을 놓았는데 아가메데스가 그만 그것에 걸리고 말았다. 트로포니오스는 도저히 아가메데스를 구출할 방법이 없자 동생의 목을 잘랐다. 이로써 아가메데스는 붙잡혀서 당하게 될 혹독한 고문을 피하고 자신은 신원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그 뒤 트로포니오스는 레바데이아로 도망쳐서 그곳의 대지에 뚫린 구멍 속으로 영원히 사라졌다고 한다.

트로포니오스의 신탁소

나중에 보이오티아에 가뭄으로 심한 기근이 들었을 때 주민들이 델포이의 신탁소에 문의하자 트로포니오스의 신탁소에 가서 물으라는 답이 내려졌다. 이에 보이오티아 주민들이 백방으로 찾아보았지만 그곳이 어딘지 알 수가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양치기 소년이 꿀을 얻으려고 꿀벌을 따라 땅속으로 난 굴로 들어갔다가 트로포니오스를 만났다. 트로포니오스는 소년에게 제물을 바치는 방법 등에 대한 신탁을 내려주었고, 이로써 보이오티아의 가뭄과 기근이 해소되었다. 그 뒤로 이곳은 트로포니오스의 신탁소라고 불리었다.

파우사니아스의 기록에 따르면 트로포니오스의 신탁소를 방문한 사람은 먼저 며칠 동안 정화의식을 행하고 제물을 바쳐야 했다고 한다. 그 뒤 열세 살짜리 소년 두 명의 인도를 받으며 헤르키나 강으로 가서 목욕을 하고 몸에 기름을 바르고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은 다음, 레테(망각)와 므네모시네(기억)라는 이름의 두 샘물에서 떠온 물을 마셨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다 거치고 나면 비로소 신탁소로 들어갈 수 있었는데 신탁소로 가려면 사다리를 타고 땅속으로 내려가야 했다. 신탁소로 내려간 사람은 캄캄한 어둠 속에서 무언가에 의해 머리를 강하게 얻어맞고 의식이 혼미한 가운데 앞날에 관한 신탁을 들었다. 그런 다음 그는 다시 지상으로 올라와 ‘기억의 의자’에 앉아 신탁의 내용을 떠올려야 했다고 한다.

신이 인간에게 내린 최고의 선물

트로포니오스의 죽음에 관해서는 또 다른 이야기도 전해진다. 그에 따르면 트로포니오스와 아가메데스는 델포이에 아폴론의 신전을 세운 뒤 아폴론에게 보수를 요구했다고 한다. 그러자 아폴론은 6일 동안 유쾌하게 지낸 다음 7일째 보수를 내리겠다고 답하였다. 이에 두 형제는 6일 동안 즐겁게 지낸 뒤 잠이 들었는데 더 이상 깨어나지 못하고 영원히 잠들게 되었다. 이것이 아폴론이 말한 7일째의 보수였는데, 이는 죽음이야말로 신이 인간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한다.

참고자료

  • 작자 미상, 『호메로스 찬가』
  • 파우사니아스, 『그리스 안내』
  • M. 그랜트, J. 헤이즐, 『』, 범우사
  • 피에르 그리말, 『』, 열린책들
  • W. H. Roscher, 『Ausführliches Lexikon der griechischen und römischen Mytholog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