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끌

동끌

[ 銅鑿 ]

동끌. 길이⑦ 10.2cm  ① 如意洞 ② 南成里 ③ 炭坊洞 ④ 國博 本6386 ⑤ 菊隱蒐集 ⑥ 龍堤里 ⑦ 九鳳里 ⑧⑨ 草浦里

동끌. 길이⑦ 10.2cm
① 如意洞 ② 南成里 ③ 炭坊洞 ④ 國博 本6386 ⑤ 菊隱蒐集 ⑥ 龍堤里 ⑦ 九鳳里 ⑧⑨ 草浦里

나무에 구멍을 파는 데 쓰이는 끌을 가리키는 용어로, 세형동검문화기에는 단면이 사각 또는 육각형의 유공동끌이 적지 않은 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동끌은 한반도의 서남부지방에서만 출토되고 있는 점이 분포상의 특징이다.

동착 역시 비파형동검문화시기부터 제작되었으며 평양 금탄리와 부여 송국리 유적 출토품이 있는데 모두 공부(部)가 없는 형식이다. 송국리 출토품은 비파형동검의 경부편을 갈아서 만든 2차 전용품이다.

송국리 출토의 동끌은 동검의 경부에서 보이는 홈이 있어 만주식동검의 파손품 중 등대 부분과 경부를 이용하여 끌로 사용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세형동검문화기의 동끌은 공부가 나 있어 나무 자루를 끼워 사용하게끔 되어 있다. 남성리 출토 동끌은 자루를 끼우게 될 주머니가 있는데 이 부분의 단면은 6각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내부 구멍의 단면은 정방형이다. 공구에는 돌대가 있고 측면에는 거푸집(鎔范)에 의한 주합선이 나타나 있다. 몸체 하부는 단면이 장방형으로 변하고 점차로 좁아지다가 단인(單刃)의 날을 세웠다.

참고문헌

  • 特別展 先·原史人의 道具와 技術(國立光州博物館, 1994년)
  • 特別展 韓國의 靑銅器文化(國立中央博物館·國立光州博物館, 汎友社, 1992년)
  • 韓國靑銅器文化硏究(尹武炳, 藝耕産業社, 1991년)
  • 靈岩出土 靑銅器鎔范에 대하여(林炳泰, 三佛 金元龍 敎授 停年退任 紀念論叢 I, 考古學 篇, 一支社, 1987년)
  • 韓國靑銅遺物의 硏究(尹武炳, 論文集 2-3, 忠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75년)
  • 朝鮮發見の銅鉈について(西谷正, 古代學硏究 46, 196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