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산공원

낙산공원

[ 駱山公園 ]

요약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東崇洞) 낙산에 있는 근린공원.
낙산공원 산책로

낙산공원 산책로

국가 한국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산3길 7-9 (동숭동 산 2-10) 일원
면적 6만 1145평
명소 서울 동대문(보물 1), 서울성곽(사적 10), 비우당(庇雨堂), 이화장(梨花莊:서울기념물 6), 동학당 터

수도 서울을 구성하는 내사산(內四山:북악산·남산·인왕산·낙산)의 하나이자 주산(主山)인 북악산의 좌청룡(左靑龍)에 해당하는 낙산의 자연환경과 역사적 문화환경을 복원함으로써 서울시민들에게 쾌적한 공원 경관을 제공하고, 자연 탐방을 통해 역사와 문화 교육의 장을 제공할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총면적은 6만 1145평으로, 1999년 12월 30일 착공해 2002년 7월 완공하였다. 주요 시설은 ① 전시 및 관리실, 매점 및 화장실, 비우당(庇雨堂), 육각 정자, 노인정 등 건축시설 5동 ② 12개의 배드민턴장과 1개의 농구장으로 이루어진 운동시설 ③ 10개의 휴게소와 117개의 의자로 구성된 편의시설 ④ 중앙광장·이벤트광장 및 3개의 전망광장으로 이루어진 광장시설 ⑤ 기타 안내판 외 28개 시설 등이다. 그 외에 공원 녹지화를 위해 소나무를 포함해 총 40종 8만 9670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주변 유적으로는 서울 동대문(東大門:보물 1), 서울성곽(사적 10), 이화장(梨花莊:서울기념물 6) 등이 있다. 그 밖에 마을 전체가 온통 붉은 열매를 맺는 나무로만 둘러싸여 있다 해서 이름 붙여진 홍수동(紅樹洞:홍숫골), 단종이 영월(寧越) 청령포(淸泠浦)에서 귀양살이할 때 왕비가 저고리깃·댕기 등에 자줏빛 물을 들이기 위해 사용했다는 자지동천(紫芝洞泉:자주동천·자주우물), 《지봉유설(芝峰類說)》의 저자 이수광(李晬光)이 외조부의 집을 손질하며 '겨우 비만 가릴 수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당호를 붙인 비우당, 우물이 나란히 5개가 있어 이름 붙여진 오형제 우물터, 오부학당 가운데 하나인 동부학당 터 등이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 산 2-10번지 일원에 있으며, 서울시 공원녹지관리사업소가 관리한다.

카테고리

  • > > >
  • > > >

관련동영상

낙산공원 서울시 종로구 낙산에 조성괸 도심 자연공원 산의 봉우리가 낙타와 비슷하다고 해서 낙산이라고 불리게 되었는데 무학대사가 한양을 도읍으로 정할 때 풍수지리학으로 좌청룡이라 불렀던 곳이다. 1996년 낙산 시민아파트를 철거하고 2002년 낙산공원을 조성하였으며 2008년, 2010년 2차 3차 낙산공원을 준공하였다. 한양도성의 성벽이 이어지고, 낙산 언덕을 따라 오르는 산책로가 여러 갈래로 조성되어 있다. 시설로는 중앙광장, 놀이광장, 전망광장이 있고 낙산전시관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