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정사 동종

봉정사 동종

[ 鳳停寺 銅鐘 ]

요약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봉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동종. 2001년 6월 2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2001년 6월 25일
관리단체 봉정사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봉정사 (태장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공예 / 의식법구
크기 높이 67㎝

2001년 6월 2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서후면 천등산(天燈山)에 있는 봉정사는 통일신라시대 의상(義湘:625∼702)이 세운 사찰로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목조건축 가운데 가장 오래된 봉정사에는 동종을 비롯해 안동 봉정사 극락전(국보), 안동 봉정사 대웅전(국보), 안동 봉정사 화엄강당(보물), 안동 봉정사 고금당(보물), 봉정사 만세루(경상북도 유형문화재), 봉정사 삼층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등 많은 문화재가 있다.

봉정사에 있는 동종은 높이 67㎝, 음통 높이 22㎝, 종입구 지름 55㎝로 조선시대인 1813년(순조 13)에 제작되었다. 종 머리에는 용의 머리를 조각한 용뉴와 소리의 울림을 좋게 하는 음통이 있는데 음통의 구멍은 막혀 있다. 종은 가로로 선을 둥글게 돌려 세 부분으로 나누었는데, 윗부분에는 서 있는 모습의 보살상 2구를 새겼고 그 사이에 9개의 유두를 새긴 사각형 유곽이 있다. 종의 중간 부분에는 범자(梵字)가 새겨진 4개의 동그란 원을 배치하였고 그 여백에는 종의 내력을 적은 글이 새겨져 있다. 종은 전체적으로 어깨 부분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중간 부분에서 종 입구까지는 거의 직선이다. 이 종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졌으나 신라와 고려시대 종의 양식을 갖추고 있다.


 

참조항목

봉정사, 서후면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