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불

삼신불

[ 三身佛 ]

요약 불교에서 부처의 몸을 셋으로 나누어 부르는 말.

법신불과 보신불·응신불(또는 화신불)을 한꺼번에 이르는 말이다. 줄여서 삼신(三身)이라고도 한다. 부처의 몸이 다양한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하여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상징하는 말이다. 먼저 법신불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만유의 본체를 형상화한 부처로서 진리를 상징하므로 빛깔도 없고 형체도 없다. 사찰에서는 비로자나불을 가리킨다. 보신불은 보살이 오랫동안 고행과 난행을 거쳐서 된 부처이다. 법장보살이 48대원(大願)을 세우고 정진하여 성불한 아미타불이 이에 속한다. 이에 비해 응신불은 법신불이나 보신불을 볼 수 없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직접 현세에 나타난 부처를 말한다. 불교의 교조석가모니불이 대표적이다.

삼신불 본문 이미지 1

우리 나라 사찰에서는 선종(禪宗)의 영향을 받아 대광명전(大光明殿) 또는 대적광전(大寂光殿)이라는 건물에 삼신불을 모시는 경우가 흔하다. 이 때 중앙의 본존은 비로자나불이며, 좌우에는 노사나불과 석가모니불이 협시한다. 이렇게 삼신불을 모시면 그 앞에 수식어가 붙는 것이 보통인데, 청정법신(淸淨法身) 비로자나불, 원만보신(圓滿報身) 노사나불, 천백억화신(千百億化身) 석가모니불이 그것이다. 또 사찰에 따라서는 삼신불 좌우에 아미타불과 약사불을 더하여 오불을 모시기도 한다. 주로 화엄사상을 중시하는 사찰에서 모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