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사

수정사

[ 水淨寺 ]

요약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수정리 비봉산(飛鳳山)에 있는 사찰.
수정사

수정사

종파 대한불교조계종
창건시기 7세기
창건자 의상
소재지 경북 의성군 금성면 수정리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신라 신문왕(재위:681∼691) 때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1481년(조선 성종 12)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에는 수량사(修量寺)라고 나와 있으며, 신경준(申景濬:1712∼1781)이 지은 《가람고(伽藍考)》에는 수정사라고 적혀 있다. 1592년(선조 25) 유정(惟政)이 이 절에 머물며 왜군을 격퇴한 바 있다. 1835년(헌종 1) 불이 나서 대광전만 남기고 모두 불에 탄 것을 뒤에 전홍(展鴻)이 옛 절터 약간 위쪽에 중창하였다. 1965년부터 1970년까지 월산(月山)이 요사와 월영루·격외선원·사명영당·영지·축대 등을 세웠으며, 1973년에는 정부의 보조를 받아 성견(性見)이 대광전을 중수하고 향각(香閣)을 중건하였다. 1993년에는 주지 총혜(聰惠)가 명부전과 범종각을 새로 짓고 산신각과 설선당을 중수하여 오늘에 이른다.

건물로는 대광전과 명부전·월영루·격외선원·사명영당·산신각·설선당·요사 등이 있고, 유물로는 사명당 유정과 전홍·응규(應奎) 등의 영정이 전한다. 절 근처에 유정이 왜군과 싸우던 금성산성(金城山城)이 있는데, 이 산성은 삼한시대 부족국가인 조문국이 세운 것이라고 한다. 인근에 조문국의 마지막 왕인 경덕왕릉의 사적지와 1935년에 세운 문익점 면작기념비가 남아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