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신각

산신각

[ 山神閣 ]

요약 불교 사찰에 있는 전각 중 하나.
댓재 산신각

댓재 산신각

산신을 모시는 이다. 사찰에 따라서는 산령각(山靈閣)이라고도 부른다. 또 삼성각(三聖閣)을 두어 칠성신·(獨星)과 함께 모시는 경우도 흔하다. 본래 산신은 에서 유래한 신으로, 불교가 전래되기 전에 많이 믿던 토착신이다. 특히 산지가 70%나 되는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 말에 이르기까지 산신신앙이 널리 유행하였다. 이 산신이 불교에 수용되면서 호법신중(護法神衆)의 하나로 자리잡았다.

불교가 대중화되기 시작한 것은 삼국시대부터이므로 산신도 비교적 일찍 불교에 수용되었을 것을 여겨지나, 산신각이 세워진 것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이다. 대개 전각의 뒤쪽에 세우며, 크기는 정면1칸, 측면 1칸이 보통이다. 산신각 내에는 산신을 그린 를 모시는데 대개 흰수염, 대머리, 긴 눈썹이 휘날리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손에는 하얀 깃털부채나 파초선·불로초 등을 들고 있고 주로 ·영주산·방장산 등의 을 배경으로 한다.

이나 속리산·계룡산· 등지의 사찰에는 드물게 여자 산신을 모시는 경우도 있다. 여자 산신은 에 댕기를 두르고 치마저고리를 입고 있다. 호랑이에 걸터앉거나 기대고 있는 모습이며, 손에는 대개 불로초를 들고 있다. 이밖에 (福巾)이나 유건(儒巾)·(程子冠)을 쓰고 지팡이를 든 유교적 산신도 있고, 삭발한 스님이 《》과 같은 불경을 들고 있는 불교식 산신도 흔하다. 이 경우 의상은 와 비슷하나 적녹색이 주류를 이룬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