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지방환경청

전북특별자치도 지방환경청

[ Jeonbuk Reg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전지역의 환경관리를 관할하는 환경부 산하기관.
구분 행정기관
설립일 1988년 05월 27일
설립목적 전북특별자치도 지역 환경관리 및 보전
주요활동/업무 지정폐기물 배출업소 지도·점검 및 자연환경 보전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3가 1407-1

1988년 임시조직인 광주환경지청 전주점검반을 시작으로 발족한 이후 광주지방환경관리청 전주환경출장소를 거쳐 1994년 전주지방환경관리청으로 승격하였다.

처음에는 계획과, 관리과, 측정분석과 3개과로 조직되어 배출업소 지도와 점검 업무를 담당하였으나, 1995년 지도과를 신설함으로써 오늘의 지방환경관리청으로서 면모를 갖추었고, 다시 금강환경관리청에서 관리하던 무주군·진안군·장수군 등이 1998년 관할구역으로 넘어오면서 전북 전지역을 관리하게 되었다. 2012년 7월 26일 전주지방환경관리청에서 새만금지방환경청으로 조직이 확대 개편되었다.2019년 '전북지방환경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단(화학안전관리단·새만금유역관리단), 5과(기획과·환경관리과·자연환경과·환경평가과·측정분석과), 1팀(환경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기획과에서는 업무계획의 수립과 예산의 편성 집행, 환경영향평가 협의와 사후관리, 환경보전 홍보와 교육, 자연환경 보전, 먹는 샘물 환경영향조사서 심사, 서무·인사·보안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환경관리과에서는 환경보전계획의 수립과 시행, 배출시설 설치 허가, 상수원 관리와 하천 감시, 하수도 설치사업, 환경기초시설 관리, 지정폐기물처리업 허가, 폐기물예치금과 부담금 부과·징수 업무를 수행하고, 지도과에서는 배출부과금 업무, 각종 환경 관련 지도 점검과 행정처분, 지정폐기물의 수집과 운반, 재활용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다.

측정분석과에서는 환경오염과 관련된 측정계획 수립·시행과 측정망 설치·운영, 측정 결과의 분석과 통계자료 관리, 자가측정대행업소 지도와 점검 등을 담당한다.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3가 1407-1번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