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향교

영동향교

[ 永同鄕校 ]

요약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 1980년 1월 4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영동향교

영동향교

지정종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0년 1월 4일
관리단체 향교재단
소재지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 372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1980년 1월 4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조선 선조 때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지금의 구교동(舊校洞)에 창건된 향교이다. 그후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60년(현종 원년)에 옛 읍성(邑城) 안으로 이전하였다. 1676년(숙종 2)에는 처음의 창건장소인 구교동으로 다시 이전하였고 1754년(영조 30)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건물은 전체적으로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이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문묘(文廟)인 대성전(大成殿)과 강당(講堂)이던 명륜당(明倫堂) 2동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인 대성전에는 공자(孔子)를 위시한 4성5현(四聖五賢)과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 한국 18현(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매년 봄가을로 석전(釋奠)을 봉행하며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올리고 있다. 명륜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단층목조 팔작지붕 건물인데 전면 툇마루에 설치된 평난간(平欄干)은 후에 보수된 것으로 보인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영동향교 영동군의 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9호 충북 영동군 영동읍에 있는 향교로 선조 때 설립하였다가 임진왜란 때 불타서 없어진 것을 1660년(현종1)에 옛 읍성 안에 복원하였으며 1676년 다시 구교동으로 옮겨졌고 1754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두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에 배치한 전학후묘의 배치를 따르고 있으며 현존하는 건물은 위패가 모셔진 대성전과 강학을 행하던 명륜당, 내삼문이 남아있다. 대성전은 정면3칸, 측면2칸 규모의 맞배지붕집으로 지어졌으며 명륜당은 정면4칸, 측면2칸의 단층목조 팔작지붕 건물로 툇마루에 설치된 평난간은 이후 보수된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