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승언리 상여

태안 승언리 상여

[ 泰安 承彦里 喪輿 ]

요약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상여. 1990년 5월 24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태안 승언리 상여

태안 승언리 상여

지정종목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90년 5월 24일
관리단체 승언리부락
소재지 충청남도 태안군 그네들길 81-28 (안면읍)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물 / 기타종교조각 / 민간신앙조각 / 목조
크기 길이 2.2m, 너비 1m, 높이 1.5m

1990년 5월 24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1880년(고종 17)경 조선 제26대 왕인 고종(高宗)의 원자 완화군(完和君) 이선(1866∼1880)이 어린 나이로 세상을 떠나자, 완화군을 가르치던 승지(承旨) 김병년(金炳年:1855∼1927)이 안면도 승언리 주민을 동원하여 국장을 치를 때 사용되었던 것이다.

그후 김병년은 자신이 죽으면 이 상여로 장사 지내 달라고 유언을 하여 나라에서 그 사용을 허락하였는데, 그의 장례에 사용된 이래 계속 이 마을에서 보관하게 되었다고 한다.

상여는 앙장(仰帳:햇볕을 가리기 위하여 상여 위로 높이 치는 천막) 틀 앞뒤에 봉황의 머리가 조각되어 있고, 네 귀에 귀면상(鬼面像)이 서 있다. 용마루 앞뒤 부분에는 용틀임 모양이 조각되어 있고, 용마루 가운데에는 특이한 형상의 저승사자상이 서 있다. 유소(流蘇:상여의 네 귀에 드리우는 매듭 장식)와 보장(寶帳:상여에 둘러치는 휘장)이 약간 훼손되기는 했으나 부재들이 잘 갖추어져 있다.

주요 재료는 나무이며, 전체적으로 섬세하고 고전적이며 화려하다. 상여의 크기는 길이 2.2m, 너비 1m, 높이 1.5m이다.

참조항목

상여, 안면읍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