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현서원 유적

충현서원 유적

[ 忠賢書院 遺蹟 ]

요약 1581년(선조 14)에 주자의 영정을 모시고 창건한 서원 터. 1984년 7월 26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충현서원 유적

충현서원 유적

지정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지정일 1984년 7월 26일
관리단체 충현서원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 381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크기 면적 1,736㎡

1984년 7월 26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1,736㎡이며, 사당·서원의 유래를 적은 비석·연정(蓮亭)·연지(蓮池) 등이 있다.

충현서원은 충청남도에 세워진 최초의 서원이다. 1581년(선조 14) 서기(徐起:1523~1591)가 ‘박약당(博約堂)’을 세우고 중국에서 가져온 주자의 영정을 모셨는데, 임진왜란 당시 폐허가 되었고, 1609년(광해군 1)에 중건하였다. 1624년(인조 2)에 사액서원이 되었다. 1790년(정조 14)에 대대적으로 보수하였는데,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폐되었다.

주자의 영정과 이존오(李存吾:1341~1391), 이목(李穆:1471~1498), 성제원(成悌元:1504~1559), 서기, 조헌(趙憲:1544~1592), 김장생(金長生:1548~1631), 송준길(宋浚吉:1606~1672), 송시열(宋時烈:1607~1689)을 배향하며,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문화재자료 제60호로 지정되었다.

사당은 1976년에 신축되었으며, 정면 3칸 측면 3칸의 겹처마 맞배지붕이다. 가구(架構)는 5량가(동자기둥과 대공을 써서 처마도리, 종도리, 마룻대의 5개의 도리가 얹혀진 지붕틀)이며, 측면에는 풍판을 달았다. 주춧돌은 복발형이며, 기둥은 두리기둥이다. 기둥 윗부분에 주두를 올리고 그 위에 죽심첨차와 익공을 엮어 공포를 짜올렸는데, 공포는 무출목 2익공식이다.

유적 입구에는 ‘충현서원사적비’ ‘충현서원사실우암소선생추향기’와 하마비가 있다. 사적비는 높이 2.5m로, 대리석으로 된 비신, 보주를 얹은 팔작지붕 형태의 비개석과 직사각형 모양의 대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1712년(숙종 38)에 건립되었고, 글은 최규서(崔奎瑞:1650~1735)가, 글씨는 윤덕준(尹德駿)이 전서로 썼다.

추향기는 높이 2.82m로, 1752년(영조 28)에 건립되었으며, 비신은 오석(烏石)이다. 글은 김진상(金鎭商:1684~1755)이, 글씨는 조관빈(趙寬彬:1691~1757)이 전서로 섰다. 연정은 서기가 처음 터를 잡아 강학하던 곳이며, 1794년에 상량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