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 House with Wooden Floored Room in Naganeupseong, Suncheon , 順天 樂安邑城 마루방집 ]

요약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서내리에 있는 19세기 초의 가옥. 1979년 1월 26일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지정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일 1979년 1월 26일
소재지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충민길 90 (서내리)
시대 조선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1979년 1월 26일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낙안읍성 내 관아 낙민루에서 서문으로 나가는 대로변에 남향하여 자리잡았다. 반듯하고 넓은 터에 안채와 부속건물이 있고 한쪽에 밭이 있다. 평면의 끝이 부엌으로 한칸 반의 넓이인데 반칸은 후대에 넓힌 부분으로 처마 밑에 가려져 있다. 부엌의 전면 중앙에 문이 있으나 문짝은 떨어져 없고 전면벽 윗부분에 커다란 창들이 있다. 부엌과 안방과의 사이에는 토벽으로 친 간벽이 있다. 중간쯤에 조왕신을 모시던 자리와 관솔 불을 켜던 선반을 설치한 자리가 있다. 그 아래에 부뚜막이 있는데 부뚜막은 전벽에서 후벽까지 이어져 있다. 천장은 삿갓천장이어서 구조물 전체가 모두 드러나 보인다. 특이한 점은 부엌의 측벽 도리에서부터 부엌 중간쯤에 가로지른 뜬도리 사이에 부챗살 모양의 구조가 있는 것이다.

부엌 다음 칸은 안방이다. 안방에는 창문을 달았다. 다음 칸은 안마루 1칸인데 작은방을 넓게 하기 위하여 안마루를 좁혔다. 이로써 기둥 세운 자리와 관계없이 안마루와 작은방과의 샛벽이 처져서 평면에 특이한 부분이 생겨나게 되었다. 또 앞퇴의 툇마루는 2칸에만 설치되어 있고, 작은방 바깥쪽은 토상(土床)인데 이 토상은 앞과 옆으로 평면을 넓혀서 기둥과 무관하게 넓은 자리를 보유하고 있다. 부엌의 전면벽에 이어 골목을 경계삼아 쌓은 돌각담이 있는데 그 돌각담과 부엌의 반쪽 담이 맞닿는 부근에 장독대를 설치하였다.

낙안읍성은 조선 태조 6년 이곳 출신의 김빈길 장군이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토성으로서 인조 때 임경업 장군이 낙안군수로 있으면서 개축하였으며, 평지에 직사각형으로 세워졌다. 임경업 장군의 선정을 기리기 위한 선정비가 지금도 남아 있다. 일반적으로 성 안에 민가가 없는 것에 반해 낙안성 안에는 지금도 주민이 살고 있고, 순수한 조선 고을의 형태를 띤다. 마을을 감싸안은 길이 2,400m의 성곽 위로는 너비 4m 가량의 산책로가 있으며 집과 집의 경계는 돌담과 대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을을 이루고 있는 가구는 모두 108가구로서, 동내리·서내리·남내리 등 3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누어져 성 안에 78채, 성 밖에 30채가 선조들의 생활양식과 전통을 간직해 나가고 있다. 특히 성 안 9채의 가옥은 생활의 때가 묻어 있는, 살아 있는 민속문화유산이다.

낙안읍성의 전체 모습은 배 모양이다. 이곳 사람들은 지하수를 깊게 파지 않았다고 하는데, 땅을 깊게 파는 것은 배 밑창을 뚫는 것이라 하여 천연우물 두 곳만을 이용해왔다. 성 안팎에는 낙풍루를 비롯해 낙민루, 향교, 동헌, 육방관청, 옥사 등이 그대로 복원되어 있다. 녹두빈대떡, 도토리묵, 더덕 등으로 별미식을 제공하고 향토특산물을 팔던 옛 장터, 난전까지 재현하여 민속고을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역참조항목

낙안면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