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갑사

원갑사

[ 圓甲寺 ]

요약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산길리에 있는 사찰.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원갑사

원갑사

지정종목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2월 29일
소장 대한불교조계종원갑사
관리단체 원갑사
소재지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산길로 266-27 (산길리)
시대 통일신라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1984년 2월 29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문화유적총람》에 따르면 신라시대 의상이 창건하였다고 하나 자세한 기록이 없어 확인할 수 없다. 다만 현재 원갑사에는 강산사에 관한 현판이 있는데, 내용을 보면 세월이 오래되어 사찰 건물이 무너지자 몽탄면에 있는 목우암의 불권계원들이 이를 중수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여 1908년 중수하였다고 한다.

《무안군지》(1922)에 따르면 해제면에 강산사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고, 《면성지》에도 원갑사가 해제면 강산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즉 정확한 연대는 확인할 수 없으나 본래는 ‘강산사’이었다가 후에 원갑사로 바뀐 듯하다. 지금의 건물은 해제·지도·영광·법성포 등지의 신도들이 지은 것이다.

법당은 극락전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이며 전퇴를 두었다. 창문은 띠살문으로 아주 작은 규모의 건물이다. 법당 외에 요사채 1동과 1897년(고종 16)에 만들어진 탱화 1점이 보관되어 있다.

참조항목

해제면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이미지

원갑사

원갑사 전남 무안군 해제면 산길리.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