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성현객사

선성현객사

[ 宣城縣客舍 ]

요약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에 있는 조선시대 선성현(宣城顯)의 관사. 1973년 8월 3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선성현객사

선성현객사

지정종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3년 8월 31일
관리단체 안동시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 산225-1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1973년 8월 3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선성현은 경상북도 예안의 옛이름으로 예안군은 1913년 안동군에 편입되었다. 이 객사는 1712년(숙종 38) 현감 김성유(金聖遊)가 개건한 것으로, 1976년 안동댐 건설로 인한 수몰로 안동군 도산면 서부동에서 지금의 성곡동 민속촌으로 옮겨왔다.

객사의 평면은 중앙에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주사(主舍)를 배치하고 양옆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익사를 연결해 지었으며 주사의 맞배지붕을 양 익사의 지붕보다 한 층 높였다. 건물은 주사가 이익공양식(二翼工樣式) 구조이고, 익사는 초익공양식 구조이다.

현재의 건물은 이건할 때 고증에 의해 양 익사의 안쪽에 온돌방 2칸을 배치하고 대청 6칸과 툇마루 1칸을 두었으며, 중앙 주사의 바닥에는 전(塼)을 깔았다. 객사의 주사에는 본래 전패(殿牌)를 안치하고 초하루와 보름에 향궐망배(向闕望拜)하였다. 양익사는 사신이나 귀한 손님 방문시에 숙소로 개방하였다. 객사는 조선시대 목조건축의 제도화된 양식을 잘 나타낸다.

참조항목

객사, 안동시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