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적용지

밀양 적용지

[ 密陽 赤龍池 ]

요약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연상리에 있는 유적. 1997년 12월 31일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밀양 적룡지

밀양 적룡지

지정종목 경상남도 기념물
지정일 1997년 12월 31일
관리단체 밀양박씨어변당공파종중
소재지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연상1길 31 (연상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원
크기 면적 95㎡

1997년 12월 31일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밀양박씨 어변당공파 종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조선 초기의 무신(武臣)으로 공조·호조·예조판서 및 한성판윤을 지낸 박곤(朴坤)이 무예와 학문을 닦던 밀양 어변당(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앞에 축조한 연못이다.

‘어변당’은 물고기가 용으로 변한 집이라는 뜻으로, 살림이 너무 가난하여 부모에게 맛있는 음식을 드리지 못한 점을 애석해 하던 박곤이 이 못에 물고기를 길러 부모에게 극진하게 봉양하였는데, 그의 효성에 감동한 물고기 한 마리가 붉은 비늘을 두 장 남겨 놓고 용이 되어 승천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뒤 마을 사람들은 이 연못을 적룡지라 부르고 건물을 어변당이라고 하였다.

무과(武科)에 장원급제하여 최윤덕(崔潤德) 휘하에 들어간 박곤은 당시 남쪽에 출몰한 왜구를 토벌하고 여진족을 정벌하는 데 혁혁한 공을 세우는 등 많은 무용담과 전설을 남겼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박곤은 언제나 물고기가 용이 되어 승천하면서 남긴 비늘을 말 안장에 장식한 채 싸움에 임하였는데, 이 때문에 말이 용처럼 빨리 달렸다고 하여 ‘비룡장군(飛龍將軍)’이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또한 박곤이 명나라 황제 등극 때 사신으로 가서 남겨 놓은 그의 후손들이 아직도 중국 산둥성[山東省]에 살고 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어변당에는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부산포진(釜山浦鎭)의 실태와 당시 군대의 병기 및 편성상황을 알 수 있는 고문서가 소장되어 있다. 이 지방에 살고 있는 박곤의 후손들은 아직도 물고기에게 먹이를 주고 있다고 한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