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온 동계문집 목판

정온 동계문집 목판

[ 鄭蘊 桐溪文集 木板 ]

요약 조선 중기 때의 문신 정온(1569∼1641)의 문집책판.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동계선생문집

동계선생문집

지정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97년 1월 30일
소재지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660년(현종 1년) 초간하였고 1851년(철종 3) 중간하였다. 크기는 54㎝×29㎝×2.5㎝로, 목판 299장이다.

정온의 호는 동계(桐溪)·고고자(鼓鼓子), 시호는 문간(文簡)으로, 1614년(광해군 6) 영창대군의 죽음이 부당하다고 상소하였다가 10년간 유배생활을 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유배에서 풀려나 대사간·부제학 등을 역임하였고,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다 화의가 이루어지자 사직하고 덕유산에서 은거하였다.

참조항목

목판본, 정온, 문집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