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

[ 密陽 靈山精舍 古佛書 ]

요약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영산정사에 있는 불교 관련 서적류. 1998년 11월 13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98년 11월 13일
소장 영산정사 성보박물관
소재지 경상남도 밀양시 가례로 233 (무안면)
시대 고려시대~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문서류 / 사찰문서 / 기타류

1998년 11월 13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영산정사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고불서로, 재단법인 화쟁교원에서 수집한 국내간행본 33종 52권이다.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대장일람(大藏一覽)》 10권 2책(고려장경도감, 1380), 《사기영선(史記英選)》 3권(집현전, 1527), 《팔양신주경(八陽神呪經)》(송광사, 1791), 《도서(都序)》(울산 운흥사, 1681),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단석사, 1605), 《송운집(松雲集)》(표충사, 1574), 《호법론(護法論)》(구월산 월정사, 1648), 《범망경(梵網經)》(함양 벽송암, 1798), 《대보부모은중경(大報父母恩重經)》(수원 용주사, 1856), 《16관경(十六觀經)》(삼각산 내원암, 1424), 《유석질의론(儒淅質疑論)》(통도사, 1376), 《염송설화(捻頌說話)》(오대산, 1687), 《묘법연화경》(영광 수연사, 1367), 《묘법연화경》(안동 광흥사, 1677), 《묘법연화경 홍전》(순천 선암사, 1660), 《묘법연화경 화본》(월악산 득주사, 1574), 《법화경》(청주 지세사, 1580), 《법화경》(무량산 서암, 1667), 《천지팔양경합본(天地八陽經合本)》(발행처 및 연도 미상), 《불설광본대세경(佛設廣本大歲經)》(장흥 천관사, 1656), 《금강경 화본》(울산 운흥사, 1656), 《절요별행록(節要別行錄)》(울산 운흥사, 1681),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조계산 송광사, 1609), 《보각서(普覺書)》(반야사, 1764), 《무경집문고(無竟集文稿)》(고사찰사적기, 1676), 《육경 합부》(서석산 정심사, 1490), 《진언집》(안심사, 1569), 《불설대목련경(佛說大目蓮經)》(흥복사, 1684), 《불설아미타경합부》(운흥사, 1702), 《작법보감(作法寶鑑)》 2권(통도사, 1766), 《법화경》 7권(쌍계사, 1660), 《조계허응당나암집(曹溪虛應堂懶庵集)》(봉은사, 1618), 《치문(緇門)》 2권(대흥사, 1562) 등이다.

참조항목

무안면, 밀양시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