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부수성비

대구부수성비

[ 大邱府修城碑 ]

요약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에 있는 조선시대 석비. 1982년 3월 4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대구부수성비

대구부수성비

지정종목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2년 3월 4일
소재지 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248 (만촌동, 영남제일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석비
크기 높이 191㎝, 폭 73㎝, 두께 45㎝

1982년 3월 4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비신(碑身)은 청색 화강암으로 높이 191㎝, 폭 73㎝, 두께 45㎝이다. 비석덮개는 황백색 화강암인데 팔작지붕 모양으로 만들었으며, 비석 받침은 황백색 화강암으로 직사각형이다.

이 비는 1869년(고종 6) 8월에 경상도 관찰사 겸 대구 도호부사로 부임한 김세호(金世鎬)가 영남 감영의 성을 수축한 뒤 수성(修城)의 사적(事蹟)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수성비에는 1870년에 수리한 공사 내용과 공사를 마친 뒤 낙성식을 열어 유공자들을 포상하였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비문의 내용은 관찰사 김세호가 지었고 글씨는 절충장군 최석로(崔錫魯)가 썼다.

대구부성(大邱府城)은 조선 영조 때 경상감사 민응수(閔應洙)가 국방상의 이유로 쌓았다. 그뒤 문루 등이 훼손되어 원래의 성보다 높이를 더 높이고 넓혔으며 동서남북 대문의 문루 등을 고친 내용을 이 비에 기록하였다. 원래 이 비석은 대구 남문 밖 영영축성비(嶺營築城碑) 옆에 세웠는데 1906년 대구 군수 박중양(朴重陽)이 대구 읍성을 헐면서 옛 달성 군청 부근에 옮겼다가 1932년 대구 향교로 옮겨 보관하였다. 1980년 영남제일관문(嶺南第一關門)을 중건하면서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역참조항목

무열로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