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곡동

중곡동

[ Junggok-dong , 中谷洞 ]

요약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있는 법정동.
중곡동

중곡동

위치 서울특별시 광진구
면적(㎢) 4.09㎢
행정구분 법정동
인구(명) 78,638명 (2023년 기준)
가구수(세대) 40,437세대 (2023년 기준)

목차

  1. 역사
  2. 현황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이 관할한다. 북쪽으로는 중랑구 면목동, 동쪽으로는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서쪽으로는 동대문구 장안동, 남쪽으로는 구의동·군자동·능동성동구 송정동과 접한다. 전체 면적은 4.09㎢로 광진구 전체 면적의 24.0%를 차지하며, 2023년 기준 전체 인구는 78,638명이고, 40,437세대가 거주한다.

역사

조선시대에는 경기 양주군 고양주면에 속한 지역이었다. 갑오개혁 이후 한성부에 편입되어 남서(南署) 두모방(성외) 전곶중계・하계 면목리동에 속했다. 1911년 4월 1일 경기도 경성부 두모면 장내중곡리가 되었으며, 1914년 4월 1일 경기도 고양군 뚝도면 중곡리로 개편되었다. 광복 후 1949년 8월 13일 서울시 성동구에 편입되었고, 1950년 3월 15일 중곡리에서 중곡동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995년 3월 1일 성동구에서 광진구로 분구되면서 오늘날의 서울시 광진구 중곡동이 되었다.

이 지역은 능동과 면목동 중간에 위치하여 가운데말 또는 간뎃말이라고 불렸고, 후에 이를 한자명으로 표기한 데서 중곡(中谷)이라는 지명이 유래하였다.

현황

동쪽으로 아차산(295.7m)과 용마산(348m)이 위치하며, 주변 일대에 산지가 넓게 분포한다. 아차산과 용마산은 중랑구 및 경기도 구리시와 경계를 이루며 능선 일대에는 고구려 관련 유적인 17여개의 보루가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한강의 지류 중 하나인 중랑천이 흐르며 둔치에는 중랑천 물놀이장과 광진장미정원이 조성되어 있다. 그 외에는 대부분 주거 지역으로 단독주택과 빌라 등이 밀집해 있다. 중곡역 인근에는 국립정신건강센터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등 보건복지부 산하의 공공기관이 입주한 보건복지행정타운이 들어서 있다. 한편, 군자역이 위치한 천호대로 주변으로 가구점이 밀집한 중곡동가구거리가 있고, 오피스텔 등 상업 시설이 들어서 소규모의 상권을 이루고 있다.

남쪽으로 천호대로와 접하고 있으며, 동부간선도로(성수장암간), 긴고랑로, 능동로, 답십리로, 동일로, 면목로, 영화사로, 용마산로 등이 중곡동을 지난다. 철도 시설에는 서울 지하철 5호선이 군자역과 아차산역을, 7호선이 군자역과 중곡역을 경유한다.

교육기관은 2023년 기준 고등학교 3개교(대원고등학교, 대원여자고등학교, 대원외국어고등학교), 중학교 2개교(대원국제중학교, 용곡중학교), 초등학교 4개교(서울용곡초등학교, 서울용마초등학교, 서울중광초등학교, 서울중마초등학교) 등이 있다.

주요 상업시설에는 면곡시장, 신성골목시장, 중곡제일시장 등이 있다. 공공기관 및 공공시설로는 중곡1·2·3·4동주민센터, 서울중곡동우체국, 중곡문화체육센터, 중곡문화체육센터도서관, 중곡종합사회복지관, 중곡빗물펌프장 등이 있다.

참조항목

광진구

카테고리

  • > > >
  • > > >

관련동영상

서울특별시 중곡동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있는 법정동 서울시 광진구에 속한 법정동으로 광진구에서 가장 넓은 동이며, 동쪽은 용마산과 아차산 능선을 경계로 경기도 구리시와 접하고, 북쪽은 중랑구 면목동과 접한다.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양주군 고양주면에 속했으며 1949년 서울시로 편입되었다. 법정동인 중곡동은 행정동인 중곡1~4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북쪽 산기슭은 개발제한구역이 많고 해발고도 약 300m의 높은산이 있어 주택가는 대부분 서쪽에 치우쳐 있다. 서쪽에는 남북으로 중랑천이 흐른다. 교통은 동부간선도로가 지나며 능동로 밑으로 지하철7호선이 지난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