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운동

청운동

[ Cheongun-dong , 淸雲洞 ]

요약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법정동.
청운효자동

청운효자동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면적(㎢) 0.79㎢
행정구분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92 (지번) 궁정동 12-1, 청운효자동 주민센터
문화재 서울 창의문(보물), 인왕산 백운동 계곡(서울특별시 기념물), 서울 백악산 일원(명승), 경기상업고등학교 본관 및 청송관(국가등록문화재)

목차

  1. 역사
  2. 현황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청운효자동이 관할한다. 북쪽과 서쪽으로는 부암동, 동쪽으로는 삼청동·세종로, 남쪽으로는 궁정동·신교동·옥인동과 접한다. 전체 면적은 0.79㎢로 종로구 전체 면적의 3.30%를 차지한다.

역사

조선시대 초기에는 한성부 북부 순화방(順化坊)에 속한 지역이었다. 영조 때에는 순화방 사재감계(司宰監契), 고종 때에는 순화방 사재감상패계(司宰監上牌契), 갑오개혁 이후에는 순화방 사재감상패계의 박정동, 백운동, 신교, 청풍계 지역이 되었다. 1910년 10월 1일 한성부가 경성부로 바뀌면서 경기도의 관할이 되었고,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순화방의 백운동, 청풍동과 박정동, 신교의 일부 지역이 통합되어 청운동(淸雲洞)으로 개편되었다. 1936년 4월 1일 경성부 청운정(淸雲町)으로 개정되었으며, 1943년 6월 10일 종로구의 신설로 경성부 종로구 청운정이 되었다. 1946년 9월 28일 경기도 관할에서 분리되어 서울시로 승격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1일 청운정에서 청운동으로 개칭되어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이 되었다.

청운이라는 지명은 청풍계(淸風溪)의 ‘청’자와 백운동(自雲洞)의 ‘운’자를 합하여 유래되었다.

현황

북동쪽으로는 북악산(342.5m)이 위치하며, 남서쪽은 인왕산(338.2m) 일대로 산지가 넓게 분포한다. 북악산과 인왕산 일대는 경복궁이 인접하고 풍경이 수려하여 경복궁의 후원으로 이용되었다. 자하문터널 위에 위치한 청운공원은 과거 아파트가 있었지만 2006년 철거 후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동 중앙에서 남북방향으로 자하문로(자하문터널)와 창의문로 등이 지나며 그 외에 인왕산로 등이 청운동을 지난다.

교육기관은 2023년 기준 고등학교 2개교(경기상업고등학교, 경복고등학교), 중학교 1개교(청운중학교), 초등학교 1개교(서울청운초등학교) 등이 있고, 공공기관 및 주요 시설로는 청운문학도서관, 윤동주문학관, 주한브루나이대사관 등이 있다.

문화재에는 서울 창의문(보물), 인왕산 백운동 계곡(서울특별시 기념물), 서울 백악산 일원(명승), 경기상업고등학교 본관 및 청송관(국가등록문화재)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조선 전기의 학자 은사 성수침(隱士 成守琛, 1493~1564)의 독서당터인 청송당 (聽松堂)터,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문인인 송강 정철(松江 鄭澈, 1536~1594)의 집터, 조선 후기의 문신인 김상용(金尙容, 1561~1637)의 집터, 조선 후기의 화가 겸재 정선(謙齋 鄭歚, 1676~1759)의 집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