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창의문

서울 창의문

[ Changuimun Gate, Seoul , 서울 彰義門 ]

요약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에 있는 문(門). 2015년 12월 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서울 창의문

서울 창의문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2015년12월2일
소장 국유
관리단체 서울특별시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 42 (청운동)
시대 조선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시설

북문(北門) 또는 자하문(紫霞門)으로도 불린다. 1396년(태조 5) 서울 성곽을 쌓을 때 세운 사소문(四小門)의 하나로 창건되어 창의문이란 문명(門名)을 얻었다. 북한(北漢) ·양주(楊州) 방면으로 통하는 교통로였으나 1416년(태종 16) 풍수지리설을 주장하는 자들이 이 곳의 통행이 왕조에 불리하다 하여 폐문(閉門)한 채 일반의 통행이 금지되었다가 1506년(중종 1)에 다시 열어놓았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 때는 능양군(陵陽君:인조)을 비롯한 의군(義軍)들이 이 문을 부수고 궁 안에 들어가 반정에 성공한 유서 깊은 곳이기도 하다.

문루(門樓)는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740년(영조 16) 다시 세우고 다락 안에 인조반정 공신들의 이름을 판에 새겨 걸었다. 1958년 크게 보수하였으며, 정면 4칸, 측면 2칸의 우진각 기와지붕으로 서울 사소문 중에서 유일하게 완전히 남아 있는 문이다. 2015년 12월 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서울 창의문 본문 이미지 1

돈의문(서대문)소의문(서소문)숭례문(남대문)북악산숭례문(남대문)광희문(남소문)혜화문(동소문)흥인지문(동대문)숙정문(북대문)창의문(북소문)창의문(북소문)인왕산경희궁덕수궁서울시청탑골공원종묘청와대광화문경복궁창경궁청계천낙산남산

참조항목

태조, 사소문

카테고리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서울 창의문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동에 있는 한양도성의 성문 조선 태조 5년인 1395년에 지어진 문으로 한양도성으로 출입하는 사소문(四小門) 중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문이다. 한양도성 사대문과 비교해서 작은 문 4개를 사소문이라고 속칭하는데 조선 후기에 들어 큰 문을 정문(正門), 작은 문을 간문(間門)이라고 정의했다. 창의문은 자하문이라고도 부르는데 북쪽으로 출입하는 작은문으로 조선시대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문이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