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역사편찬

고려의 역사편찬

고려 초부터 춘추관(春秋館)에서 역사편찬을 담당하였다. 거란 침입 후 전란으로 소실된 사적을 편찬하기 위하여 1013년(현종 4) 최항(崔沆)·김심언(金審言) 등은 태조 때부터 7대 목종 때까지의 사적을 편찬, 1032년(덕종 1) 황주량(黃周亮)은 《칠대실록(七代實錄)》(30권)을 완성하였다. 문종 때 박인량(朴寅亮)의 《고금록(古今錄)》, 예종 때 홍관은 연대미상인 《편년통재(編年通載)》의 뒤를 이은 《속편년통재(續編年通載)》를 편찬하였으나, 모두가 전하지 않는다. 1145년(인종 23) 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삼국의 역사를 보수적 유교사관에 맞추어 기록한 《삼국사기(三國史記)》가 전한다.

역사의식은 무신의 난과 몽골침입으로 시련을 겪은 뒤, 고려의 지식계급은 유교사관에 입각한 사학(史學)의 경향이 새로 대두되어 불교의 폐단, 권문세가들의 횡포 등 사회모순이 격화됨에 따라 이에 대한 비판과 민족적 자주성을 재인식하고 여기에 정통과 대의명분을 중시하는 성리학적 사관을 받아들여 새로운 역사학이 성립되었다.

23대 고종(高宗) 때 각훈(覺訓)은 불교계 정리책의 일환으로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을 편찬하였고, 25대 충렬왕 때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事)》는 불교 입장에 서서 고대문화와 관계되는 주요한 사실을 기록하여 정통적 사관을 제시하였다. 또 충렬왕 때 이승휴(李承休)는 한시(漢詩)로 중국과 한국역사를 적은 《제왕운기(帝王韻記)》를 썼다. 특히 이제현은 고려국사를 편찬하다가 중단하였으나 그의 사학은 조선시대의 역사서술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김종서 등이 편찬한 고려사), 그의 사관은 정통과 대의명분을 중시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