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의 연혁

목포시의 연혁

목포진역사공원

목포진역사공원

석현동 일원에 청동기시대의 고인돌이 분포하여 선사시대부터 목포 지역에 취락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의 영역이었으며, 삼국시대에는 근초고왕(재위 345~375) 때 백제에 병합되어 물아혜군(勿阿兮郡) 또는 물내혜군(勿柰兮郡)이 설치되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뒤, 757년(경덕왕 16) 주·군·현의 명칭과 행정체계를 정비하여 몰아혜군을 무안군(務安郡)으로 개칭하였으며 면주(綿州)라고도 불렀다.

후삼국시대에는 견훤이 세운 후백제의 영역이었으며, 909년 왕건이 목포에서 덕진포까지 수륙으로 포진한 견훤의 대군을 크게 물리쳐 세력을 굳건히 함으로써 고려 건국의 기틀을 다졌다. 목포(木浦)라는 지명은 남쪽 포구를 뜻하는 남개가 나무개로 변하였다가 목포가 되었다고도 하고, 강과 바다가 만나는 목에 위치한 포구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고도 한다. 고려가 개국한 뒤, 944년(혜종 1) 무안군은 물량군(勿良郡)으로 바뀌었다가 991년(성종 10) 무안군으로 환원되고 나주군의 속군(屬郡)이 되었다. 995년(성종 14) 전국이 10도(道)로 구획되면서 해양도(海陽道) 나주목(羅州牧)의 무안현에 속하였으며, 1172년(명종 2) 무안현에 감무(監務)가 파견되었다.

조선이 개국한 뒤에도 목포 지역은 무안에 속하여 1397년(태조 6) 조양(兆陽, 지금의 전남 보성군)·옥구(沃溝, 지금의 전북 군산시)·흥덕(興德, 전북 고창군)과 함께 전라도 4진(鎭)의 하나인 목포진이 설치되었다. 1413년(태종 13) 8도제(道制)가 시행되어 전라도 나주목 무안현에 속하였으며, 조선 후기까지 유지되었다. 1439년(세종 21)에는 목포진에 수군 만호(萬戶)가 파견되어 고하도·암태도·흑산도를 비롯한 연안의 12개 도서를 관할하였다. 1502년(연산군 8) 목포진성(木浦鎭城)이 축성되었고, 목포진은 1895년(고종 32) 폐지될 때까지 서남해의 바닷길을 지키고 조운선(漕運船)을 보호·관리하는 역할을 하였다. 1895년(고종 32) 8도제가 폐지되어 전국이 23부(府)로 개편되면서 무안현은 무안군이 되어 나주부(羅州府)에 속하였으며, 이듬해 23부제가 폐지되고 전국이 13도로 재편되어 무안군은 전라남도에 소속되었다. 1897년(광무 원년) 목포항이 통상항으로 개항되어 감리서(監理署)가 설치되고 각국거류지가 설정되었으며, 무안군이 무안부(務安府)로 승격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0년 무안부가 목포부(木浦府)로 개칭되었으며, 목포부는 부내면·금동면·다경면·망운면·박곡면·삼향면·석진면·신노마면·엄다산면·외읍면·일로면·이로면·일서면·이서면·좌촌면·진례면·진하산면·해재면·현화면 등 19개 면을 관할하였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부내면만 목포부로 남고 나머지 지역은 무안군으로 분리되었으며, 목포와 대전 간을 운행하는 호남선 전 구간이 개통되어 경부선과 연결되었다. 1932년 무안군 이로면의 산정리·용당리·죽교리가 목포부에 편입되었으며, 인구가 6만 명에 달하여 전국 6대 도시의 하나로 도약하였다.

8·15광복 후, 1949년 목포부가 목포시로 개칭되었다. 1963년 무안군 이로면이 목포시에 편입되어 이로동이 되었고, 달리도·눌도 등 13개 도서가 충무동으로 편제되었다. 1973년 무안군 삼향면 석현리가 편입되어 이로동 관할에 속하였으며, 1987년에는 무안군 삼향면의 대양리·옥암리가 편입되어 석현리 구역과 함께 삼향동으로 편제되었다. 1994년 이로동이 용해동과 상동으로 분동되어 29개 행정동으로 확대되었다가 1997년 11개 동이 통폐합되고 8개 동이 분할되어 26개 행정동으로 개편되었다. 한편, 1990년대 후반부터 하당신도시가 건설되었으며, 2004년에는 목포신항이 개장하였다.

2006년 용당1동과 산정2동이 용당1동으로, 대성동과 남양동이 대성동으로, 북교동과 무안동이 목원동으로, 유달동과 충무동이 유달동으로 각각 합동되어 22개 행정동으로 축소되었으며, 이와 함께 산정1동은 연동으로, 산정3동은 산정동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2012년에는 남악신도시 옥암지구에 부주동이 신설되어 23개 행정동 체제가 갖추어졌다. 2020년을 기준하여 행정구역은 23행정동(대성동·동명동·만호동·목원동·부주동·부흥동·북항동·산정동·삼학동·삼향동·상동·신흥동·연동·연산동·옥암동·용당1~2동·용해동·원산동·유달동·이로동·죽교동·하당동) 64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