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의 연혁

오산시의 연혁

[ 烏山市- 沿革 ]

외삼미동·청호동·청학동 등지에서 수습된 몸돌·찍개·주먹도끼 등의 구석기 유물, 가장동·내삼미동 등지에서 발굴된 신석기시대의 집터와 토기, 금암동·외삼미동에 분포하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지석묘) 등 선사시대에 사람이 거주하였던 유적 및 유물이 확인된다. 삼한시대에는 마한모수국(牟水國)에 속하였던 것으로 비정되는데, 모수국은 지금의 오산시와 화성시의 봉담읍·향남읍·정남면·양감면·매송면·동탄동·화산동·병점동·진안동 일대로 추정된다.

삼국시대에는 먼저 백제의 영역에 속하여 지금의 세마동에 독산성(禿山城)이 축조되었다고 추정되며, 475년(장수왕 63) 고구려가 남진하여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지금의 수원·화성 일대에 매홀군(買忽郡)을 설치하였다. 553년(진흥왕 14)에는 신라가 한강 유역을 장악하여 신주(新州)를 설치하였으며, 이후 신주는 북한산주(北漢山州)·남천주(南川州)를 거쳐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뒤 한산주(漢山州)로 개편되었다. 757년(경덕왕 16) 한산주는 한주(漢州)로 개편되었고, 매홀군은 수성군(水城郡)으로 개칭되었다. 당시 수성군의 영역은 지금의 오산시와 수원시 그리고 화성시 북부·동부·남부 지역에 해당된다.

고려가 개국한 뒤, 940년(태조 23)에 수성군은 수주(水州)로 승격되었다. 995년(성종 14) 10도제가 실시되어 관내도(關內道)에 속하였으며, 도단련사(都團練使)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에 폐지하였다. 1018년(현종 9)에는 전국이 5도양계로 재편되어 수성군은 양광도(楊廣道)에 편제되었으며, 1271년(원종 12) 주민들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에 이어 수주목(水州牧)으로 승격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수원부(水州府)로 강등되었다. 1362년(공민왕 11) 홍건적의 침입 때 양광도에서 가장 먼저 항복하였다 하여 수원군으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수원부로 복구되었다.

조선이 개국한 뒤, 1395년(태조 4) 수원부는 경기도에 편입되었으며, 1413년(태종 13) 전국 행정구역이 8도(道)로 정비되면서 수원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 때 독산성 전투에서 권율(權慄)이 호남의 근왕군을 이끌고 일본군의 공세를 물리쳐 수성(守城)에 성공하는 전과를 거두었다. 1793년(정조 17)에는 수원이 화성(華城)으로 개칭되고 도호부에서 유수부(留守府)로 승격되었는데, 당시 청호면(靑好面;오매리·부산리)·시봉면(市峰面;곡촌리·세교리)·삼미면(三美面;중변리·자안리·금곡리)·산성면(山城面;지곶리·양산리)·초평면(草坪面;가사리·사오화리)과 어탄면(魚呑面)의 일부가 지금의 오산 지역에 해당한다. 1895년(고종 32) 8도제가 폐지되고 전국 행정구역이 23부(府)로 재편되면서 수원군으로 강등되어 인천부(仁川府)에 편제되었으며, 이듬해에 23부제가 폐지되고 13도제가 시행되면서 다시 경기도에 편제되었다. 이 무렵의 오산 지역은 청호면·문시면(文市面)·산성면·초평면의 4개 면으로 구성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수원군의 기존 14개 면과 남양군 전역, 안산군·광주군의 일부가 수원군으로 병합되었다. 이때 수원군은 종전의 청호면·문시면·산성면·초평면과 어탄면 일부를 통합한 성호면(城湖面)을 포함하여 수원면·일형면·태장면·안룡면·매송면·봉담면·향남면·양감면·음덕면·마도면·송산면·서신면·비봉면·팔탄면·장안면·우정면·의왕면·정남면·동탄면·반월면 등 21개 면으로 재편되었다. 1915년에는 동·리 명칭을 조정하여 종전 청호면의 4동과 5동을 오산리(烏山里)로 편제하여 지금의 지명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당시 성호면은 오산리 외에 궐리·가장리·청학리·서리·가수리·누읍리·벌음리·두곡리·탑리·부산리·원리·양산리·서랑리·지곶리·세교리·외삼미리·내삼미리·금암리·수청리 등 20개 리로 편제되었는데 지금의 법정동 명칭과 일치한다. 1931년 수원면이 수원읍으로 승격되었고, 1941년에는 성호면이 오산면(烏山面)으로 개칭되었다.

8·15광복 후, 1949년 수원읍이 수원시로 승격되고 수원군의 나머지 지역이 화성군으로 개편되어 오산면은 화성군에 편제되었다. 1960년 오산면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70년 수원시에 있던 화성군청이 오산읍의 원리로 이전하여 화성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1987년 동탄면의 금곡3리가 오산읍에 편입되어 은계리로 명칭을 변경하여 21개 법정리로 확대되었다. 1989년 오산읍이 오산시로 승격되어 21개 법정리가 법정동으로 전환되었으며, 중앙동·역촌동·남촌동·신장동·세마동·초평동의 6개 행정동이 편제되어 법정동을 관할하였다. 1991년 역촌동이 대원동으로 개칭되었고, 1995년에는 평택군 진위면의 고현리·청호리·갈곶리가 오산시로 편입되어 지금의 6행정동 24법정동 체제가 갖추어졌다.

2020년을 기준하여 행정구역은 6행정동(중앙동·대원동·남촌동·신장동·세마동·초평동) 24법정동(부산동·오산동·은계동·원동·고현동·청호동·갈곶동·청학동·가장동·궐동·가수동·누읍동·금암동·내삼미동·외삼미동·수청동·세교동·서랑동·양산동·지곶동·두곡동·벌음동·서동·탑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