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포

안동포

[ 安東布 ]

요약 경북 안동지방에서 생산되는 마직물.
안동포타운

안동포타운

마직물은 삼(hemp:Cannabis sativa)의 줄기 속에 들어 있는 인피섬유(靭皮纖維)로 짜기 때문에 흔히 삼베라고 하며, 마포·대마포라고도 한다. 삼베는 땀을 빨리 흡수하고 건조가 빠르며, 통풍이 잘 되고 열전도성이 커서 시원하다. 뿐만 아니라 마찰에 대한 내구성이 커서 질기고 수명이 길며, 물에 대한 강도도 커서 세탁할 때 손상이 적은 등의 장점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일찍부터 의복의 소재로 널리 이용되었다. 그 가운데서도 함경도지방의 북포(北布), 영남지방의 영포(嶺布), 강원도지방의 강포(江布), 전라도 곡성의 돌실나이 등이 유명하였다.

안동포는 영포 중에서 으뜸으로 여겨져 왔다. 일찍이 신라 선덕여왕 때 베짜기 대회에서 이름을 날려 진상품이 되었으며 화랑들도 이를 즐겨 입었다고 하는데 경주 고분에서 발굴된 유품에도 뛰어난 기술로 직조된 마직물이 있다. 조선시대에도 궁중 진상품이었으며 지방특산물로 지정되어 널리 알려졌다. 삼베 길쌈은 삼의 품질에 따라 크게 생냉이 길쌈, 익냉이 길쌈, 무삼 길쌈으로 나뉜다. 가장 부드럽고 고운 것으로 생냉이를 짜는데 이것이 안동포이다.

생냉이의 경우 1폭당 보통 10새나 11새, 익냉이의 경우 7새, 무삼은 5새로 짠다. 새[升]는 옷감의 곱기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경사 80올이 1새에 해당한다. 올수가 많으면 그만큼 옷감의 결이 고와진다.

그런데 근래에 들어서 값싸고 질이 뛰어난 섬유가 대량생산되면서 상대적으로 값이 비싼 안동포에 대한 수요가 줄어듦에 따라 직조기능 보유자의 숫자도 감소하였다. 안동포 직조기능은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이며, '삼베짜기'라는 명칭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제140호로도 지정되어있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