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여왕

선덕여왕

[ 善德女王 ]

요약 신라 최초의 여왕이자 제27대 왕(재위 632∼647).
경주 선덕여왕릉

경주 선덕여왕릉

출생-사망 ? ~ 647
국적/왕조 신라
재위기간 632년∼647년
본관 경주(慶州)
본명 덕만(德曼)
별칭 성조황고(聖祖皇姑), 시호 선덕여대왕(善德女大王)
활동분야 정치

성은 김(金)이고, 이름[諱]은 덕만(德曼)이다. 시호(諡號)는 선덕(善德)이며 ‘인평(仁平, 634〜647)’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신라 제26대 진평왕(眞平王, 재위 579∼632)의 맏딸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복승 갈문왕(福勝葛文王)의 딸인 마야부인(摩耶夫人) 김씨이다. 언니인 천명부인(天明夫人)은 제25대 진지왕(眞智王, 재위 576~579)의 아들인 이찬(伊湌) 김용춘(金龍春)과 결혼해 제29대 무열왕(武烈王, 재위 654~661)을 낳았다. 《삼국유사》 ‘왕력(王曆)’ 편에는 음 갈문왕(飮葛文王)이 선덕여왕(善德女王)의 배필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선덕여왕은 성품이 관대하고 어질며 총명했다. 당나라에서 가져온 모란꽃 그림만 보고도 그 꽃이 향기가 없음을 알았으며, 636년(선덕여왕 5)에는 왕궁 서쪽의 옥문지(玉門池)에 개구리가 많이 모여들었다는 이야기만 듣고서 서남쪽 변경의 옥문곡(玉門谷)에 백제군이 잠입해 있다는 사실을 예견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삼국유사》에는 그녀가 자신의 무덤 아래에 사천왕사(四天王寺)가 세워지리라는 것을 미리 예견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632년(진평왕 54) 정월에 아버지 진평왕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는데, 《삼국사기》에는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나라 사람들이 그녀를 왕으로 세우고 ‘성조황고(聖祖皇姑)’라는 칭호를 바쳤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삼국유사》 ‘왕력’ 편에는 “성골(聖骨) 남자가 다하여 여왕을 세웠다(聖骨男盡故女王立)”고 기록되어 있다. 진평왕의 동생들인 백반(伯飯)과 국반(國飯)도 이미 죽었고, 진평왕의 가계(家系)에 남자 혈족이 존재하지 않아 선덕여왕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신라 최초로 여자로서 왕위에 오른 선덕여왕은 대신(大臣) 을제(乙祭)로 하여금 국정을 총괄하게 했고, 634년(선덕여왕 3)에는 연호를 ‘인평’으로 고치고, 635년(선덕여왕 4)에는 이찬 수품(水品)과 김용춘(金龍春)을 시켜 각 주(州)와 현(縣)을 돌면서 백성들을 위로하게 했다. 636년(선덕여왕 5)에는 수품을 상대등(上大等)으로 삼았으며, 637년(선덕여왕 6)에는 사진(思眞)을 서불한(舒弗邯)으로, 알천(閼川)을 대장군(大將軍)으로 삼았다. 645년(선덕여왕 14)에는 이찬 비담(毗曇)을 상대등으로 임명했다.

선덕여왕의 재위기간에도 백제와 고구려는 진흥왕(眞興王, 재위 540~576) 때에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신라를 잇달아 공격해왔다. 633년(선덕여왕 2)에는 백제가 서쪽 변경을 쳐들어왔다. 636년(선덕여왕 5)에도 백제 장군 우소(于召)가 독산성(獨山城)을 기습하기 위해 몰래 침투해 왔으나, 선덕여왕은 이를 미리 알고 알천(閼川)을 보내 패퇴시켰다. 638년(선덕여왕 7)에는 고구려가 칠중성(七重城)을 공격해왔으나 알천이 이를 물리쳤다. 선덕여왕은 북동 지역의 영토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637년 우수주(牛首州, 지금의 춘천)를 설치해 군주(軍主)를 두었고, 639년(선덕여왕 8)에는 하슬라주(何瑟羅州, 지금의 강릉)를 북소경(北小京)으로 만들어 사찬(沙湌) 진주(眞珠)로 하여금 지키게 했다. 642년(선덕여왕 11)에는 백제의 의자왕(義慈王, 재위 641~660)이 서쪽의 40여 개의 성을 점령했고, 고구려와 함께 당항성(唐項城)을 공격해 신라와 당나라가 통하는 길을 차단하려 했다. 이때 신라는 서쪽의 군사 요충지인 대야성(大耶城, 지금의 경남 합천)도 백제 장군 윤충(允忠)에게 빼앗겼다. 선덕여왕은 고구려에 김춘추(金春秋, 무열왕)를 보내 지원을 요청하고, 당나라에도 사신을 보내 원병을 요청했으나 실현되지는 않았다. 643년(선덕여왕 12)에는 김유신(金庾信)을 압량주(押梁州)의 군주(軍主)로 삼았으며, 이듬해에는 김유신을 대장군으로 임명해 백제를 공격하게 했다. 김유신은 백제로부터 가혜성(加兮城), 성열성(省熱城) 등 7개의 성을 빼앗았다. 645년(선덕여왕 14)에도 백제가 매리포성(買利浦城, 지금의 경남 거창)을 공격해왔으나 김유신이 이를 물리쳤다. 그해 여름 당나라 태종(太宗, 재위 626~649)이 고구려 침공에 나서자 신라도 군사 3만을 동원해 이를 지원했다. 하지만 백제가 그 틈을 타서 신라를 공격해 7개의 성을 점령했다.

이처럼 백제와 고구려의 압박을 받던 신라는 고립을 피하기 위해 중국 당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더욱 강화했다. 신라는 632년(선덕여왕 원년), 633년(선덕여왕 2), 640년(선덕여왕 9), 642년(선덕여왕 11), 643년(선덕여왕 12), 644년(선덕여왕 13), 645년(선덕여왕 14) 등 거의 해마다 당나라로 사신을 보냈으며, 640년에는 유학생들을 당나라에 보내 국학(國學)에 입학시켜 주기를 요청하기도 했다. 642년과 643년에는 당나라로 사신을 보내 백제와 고구려의 침공으로 나라가 어려움을 호소하며 원병을 청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당나라는 635년(선덕여왕 4) 사신을 보내 선덕여왕을 ‘주국낙랑군공신라왕(柱國樂浪郡公新羅王)’으로 봉하는 조서를 보내왔으나, 여자를 임금으로 삼아 이웃나라로부터 업신여김을 당하고 있다며 선덕여왕의 왕권 유지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한편, 선덕여왕도 아버지인 진평왕과 마찬가지로 불교를 진흥하였다. 분황사(芬皇寺, 634년)와 영묘사(靈廟寺, 635년) 등을 완성했고, 636년(선덕여왕 5) 병이 들었을 때에는 황룡사(皇龍寺)에서 백고좌(百高座)를 열어 승려들을 모아 《인왕경(仁王經)》을 강설케 하고 1백 명의 승려에게 도첩을 주었다. 645년(선덕여왕 14)에는 자장법사(慈藏法師)의 요청을 받아들여 황룡사 9층탑을 세웠다. 《삼국유사》에는 첨성대가 세워진 것도 선덕여왕 때의 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선덕여왕의 재위기간에는 왕위 계승을 둘러싼 왕실 내부의 갈등도 확대되었고, 그 과정에서 알천과 김유신 등 무장(武將)들의 영향력이 커졌다. 선덕여왕이 왕위에 오르기 직전인 631년(진평왕 53) 여름에도 이찬 칠숙(柒宿)과 아찬(阿湌) 석품(石品)이 모반 혐의로 처형되는 사건이 벌어졌는데, 647년(선덕여왕 16)에는 상대등(上大等) 비담(毗曇)이 염종(廉宗) 등과 함께 여왕이 정치를 잘못한다며 군사를 동원해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비담은 명활성(明活城)에 주둔하며 왕궁이 있는 월성(月城)을 10여일이나 공격하기도 했으나 김유신(金庾信)에게 패하면서 진압되었다. 《삼국사기》에는 당시 월성으로 큰 별이 떨어지자 선덕여왕이 몹시 두려워하였으나 김유신이 불을 붙인 허수아비를 연에 실어 하늘로 띄워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은 덕분에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선덕여왕은 647년에 세상을 떠났으며, 낭산(狼山)에 매장되었다. 오늘날 경주시 배반동에 위치한 선덕여왕릉은 사적 제182호로 지정되어 있다. 진평왕의 동생인 진안 갈문왕(眞安葛文王) 국반(國飯)의 딸, 곧 선덕여왕의 사촌인 승만(勝曼)이 왕위를 계승해 제28대 진덕여왕(眞德女王, 재위 647 ~654)이 되었다.

한편, 《삼국유사》 ‘신주(神呪)’ 편의 ‘밀본최사(密本催邪)’ 조에는 밀본법사(密本法師)가 법력으로 늙은 여우를 죽여 선덕여왕의 병을 낫게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리고 ‘의해(意解)’ 편의 ‘이혜동진(二惠同塵)’ 조에는 선덕여왕이 영묘사에 갔을 때 지귀(志鬼)의 심화(心火)가 탑을 태웠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16세기 권문해(權文海)가 편찬한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등에 수록된 ‘지귀설화’에서는 지귀가 선덕여왕을 사모하다가 가슴이 타들어가 불귀신이 되었다고 더 자세히 전하고 있다.

선덕여왕 본문 이미지 1진평왕천명공주김용춘태종무열왕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관련이미지

경주 첨성대

경주 첨성대 경북 경주. 신라시대.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