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인구 이동

대한민국 인구 이동

이촌 향도인구이동 현상은 1955년경부터 시작되었으며, 1960년대에 들어서자 공업화·도시화의 본격적인 진전에 따라 다수의 농어촌 인구가 도시지역 및 개발지역으로 이주하였다. 1970∼1990년 전 기간에 걸쳐 서울·부산·경기가 전입 초과 현상을 보인 반면, 강원을 비롯한 나머지 8개 도가 모두 전출 초과 현상을 나타냈다. 하지만 2000년대를 지나면서 인구이동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유입되는 쪽으로 변화해 갔다. 수도권 인구 집중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만든 세종시를 포함한 각종 혁신도시로의 인구이동 등으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이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을 넘어선 적이 있으나 2016년 이후에는 다시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이 가파르게 상승하였다. 그래서 권역별 순이동자수를 살펴보면, 2016년에는 수도권 1천 명 유출, 중부권 4만 1천 유입, 호남권 1만 6천 명 유출, 영남권 4만 명 유출이었으나, 2020년에는 수도권 8만 8천 명 유입, 중부권 1만 2천 명 유입, 호남권 2만 4천 명 유출, 영남권 7만 8천 명 유출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수도권 인구 유입의 결과 2020년 수도권 인구는 2,596만으로 비수도권 인구 2,582만을 넘어섰다.

한편 8·15광복이 되면서 전국에 걸쳐 살던 일본인 70만 명이 본국으로 돌아갔고, 1962년 해외이주법을 공포·시행한 이래 한국인의 국제적 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2019년 기준 재외동포 총수는 749만 3,587명이다. 그들 가운데 43.86%인 328만 6,363명이 일본과 중국에, 37.21%인 278만 8,732명이 미국과 캐나다에, 9.17%인 68만 7,059명이 유럽지역에, 10만 3,617명이 중남미 지역에, 2만 4,498명이 중동지역에, 1만 877명이 아프리카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관련동영상

인구 이동 사람들은 삶의 조건이 더 나은 곳으로 이동하려고 합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인구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을 인구이동이라고 합니다. 인구 이동의 원인에는 인구를 밀어내는 배출 요인과 인구를 끌어들이는 흡인 요인이 있습니다. 빈곤, 실업, 낮은 임금, 열악한 주거 환경, 교육/문화/의료 시설 부족 등은 인구를 배출하는 요인이 되고, 풍부한 일자리, 높은 임금, 쾌적한 주거 환경, 다양한 교육/문화/의료 시설 등은 인구를 흡인하는 요인이 됩니다. 인구 이동은 그 범위에 따라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국제 이동과 한 국가 내에서 이동하는 국내 이동으로 구분됩니다. 먼저 인구의 국제 이동은 대개 경제적, 종교적, 정치적 이유 등으로 일어납니다.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풍부한 일자리와 높은 임금을 찾아 이동하는 경우는 경제적인 이유의 인구 이동입니다. 과거 영국의 청교도들이 미국으로 이주했던 것은 종교적인 이유의 인구 이동이며, 민족 탄압, 독재 정치, 내전 등을 피해 이동하는 경우는 정치적인 이유의 인구 이동이 됩니다. 또한 노예 무역을 통해 아프리카 흑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동한 것과 같이 이주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이루어진 인구 이동도 있었으며, 오늘날에는 휴양이나 유학 등을 위한 일시적인 이동도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다음으로 인구의 국내 이동은 그 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적 요인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동하는 이촌향도 현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반면, 선진국에서는 쾌적한 환경이나 여유로운 삶을 찾아 도시 주변의 교외 지역이나 농촌으로 이주하는 역도시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의 인구 이동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요? 일제 강점기에는 광공업이 발달한 북부 지방으로의 국내 이동이 있었고, 일제의 탄압을 피한 이주나, 징병, 징용으로 인한 국제 이동이 많았습니다. 광복 후에는 해외 동포들이 다시 국내로 귀국하였고, 6.25전쟁 때에는 피난민들이 다수 남부 지방으로 이동하였습니다. 1960년대에는 급속한 산업화로 이촌향도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수도권과 대도시로 인구가 집중되었으나, 인구 밀집으로 인해 도시의 생활 환경이 악화되자 1990년대 이후로는 대도시의 인구가 주변으로 일부 분산되며 역도시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최근에는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는 등 외국에서 우리나라로의 인구 이동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