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로스 사회

키프로스 사회

리마솔 기술대학교

리마솔 기술대학교

인구

키프로스는 국적법에서 속인주의를 표방한다. 부모 중 한 사람이 키프로스 국적자인 경우에만 자녀에게 키프로스 국적을 부여한다. 이중국적 소유가 가능하다. 이주 후 키프로스에서 7년을 거주한 경우 귀화 자격이 주어진다.

키프로스 인구는 크게 그리스계 키프로스인과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으로 나뉜다. 본격적인 분쟁이 시작되기 전에는 인구의 77.1%가 그리스계였고, 18.2%가 튀르키예계였으며 섬 전체에 흩어져 거주하였다. 북키프로스가 분할된 이후, 키프로스 인구의 98.8%가 그리스계이다. 또한 국제연합(UN)의 완충 지대 남쪽은 그리스어를 사용하고, 북쪽은 튀르키예어를 사용한다. 북키프로스의 인구는 약 30만명으로 추산하고, 이중 15만명은 튀르키예 본토에서 이주한 이주민이다. 그러나 UN은 북키프로스를 국가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수치를 키프로스 국민으로 계상하지 않는다. 키프로스 인구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인권

키프로스 인권은 헌법에 보장되어 있다. 다만 소수자 인권, 민주적 자유, 피구금자의 권리, 종교 자유, 여성 권리, 언론 자유와 관련하여 일부 침해 사례가 보고되는 상황이다. 2010년 미 국무부 보고서에 따르면, 키프로스 공화국이 실표 지배하고 있는 지역에서 구금된 사람들과 망명 신청자에 대해 경찰이 학대를 하거나 모욕하는 사례가 보고되었다. 또한 소수 민족을 차별하거나 폭력을 가한 사례도 보고되었다. 특히 여성을 성적으로 착취하고 인신매매 사례 역시 존재한다.

키프로스의 정치 자유 수준은 높은 것으로 평가되며 최근 선거 역시 자유롭고 공정하게 진행되었다 평가한다. 다만 북키프로스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키프로스의 선거과정 및 정책 의사 결정에 참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키프로스 공화국의 실효 지배 지역에 거주하는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에 대한 권리 침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튀르키예계 공동체에 대한 감시와 재산권 침해, 사찰 등의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키프로스 내 종교 자유도는 높은 편이다. 키프로스 정교회가 다수인 상황에서 17개 모스크가 있으며, 이들 중 5개가 실제로 운영 중이다. 이슬람 종교 교육이 가능한 정규 교육기관은 없으며 마론파 기독교가 운영하는 교육시설은 존재하나, 마론파 기독교 확산을 이유로 폐쇄 요구가 존재한다.

여성 인권 보존을 위한 법적 체제는 갖춰져 있지만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는 발생하고 있다. 특히 성범죄와 인신매매와 관련한 범죄가 보고되고 있다. 성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은 존재하며, 특히 동성애자는 군 복무를 할 수 없다. 또한 군법에는 동성애자 성행위가 범죄로 규정되어 있고, 형량은 6개월이지만 실제 집행 사례는 거의 없다.

교육

키프로스 교육 주관 정부 기관은 교육문화부이다. 교육 체계는 유아 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으로 분류한다. 유아 교육은 취학 전 교육으로 3~6세, 초등교육은 6~12세, 중등교육은 12~18세, 고등교육은 18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다. 5세에서 15세 사이 아이들은 전일제 교육 대상자이다. 모든 교육 과정의 공교육 비용은 정부가 부담한다. 또한 사립 교육기관이 존재하기 때문에, 개인의 선택에 따라 교육 기관을 다닐 수 있다. 사립 교육기관과 대학 교육비는 정부가 부담하지 않으며, 개인이 지불한다. 학기는 가을 학기제로 9월 시작한다.

대학 교육은 고등 교육으로 분류되며, 4년제 학사가 기준이다. 학사 취득 이후에는 석사와 박사 학위 취득이 가능하다. 사립 대학은 2005년에 처음으로 인가되었다. 학위 발급이 가능한 대학으로는 공립대학인 키프로스 대학교, 키프로스 통신 대학교, 키프로스 공과 대학교가 있다. 사립 대학은 키프로스 유럽 대학교, 프레데릭 대학교, 네아폴리스 대학교, 센트럴 랭커셔 키프로스 대학교, 니토시아 대학교, 필립스 대학교가 있다. 이외에도 34개 전문대학을 운영하고 있으며 키프로스 임업 대학, 경찰학교, 직업 훈련학교, 지중해 경영 연구소 등 국립 특수 교육 시설이 있다.

역참조항목

키프로스 언론

카테고리

  • > >
  • > >